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강점인식 및 활용을 돕는 코칭이 직장인들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직장인 43명이 참여하였고, 실험집단 21명과 통제집단 22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21명을 대상으로는 일대일 강점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5회기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코칭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전체에게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통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한 후 사전, 사후에 대한 시점과 실험, 통제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일대일 강점코칭프로그램 실시 후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 시점에서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인의 강점 인식 및 활용을 돕는 강점코칭은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ngths coaching program on strengths self efficacy, positive affect, self efficacy,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Korean employees. Participants were 43 Korean employees, 21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across three times(pre, post, follow-up). To measure overall effects, strengths self efficacy, positive affect, self efficacy,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s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confirming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Also, there were non significant effects of time interval(post and follow-up)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confirming the duration of the program effect across tim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