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퇴계학은 주자학 계열에 속하면서도 오히려 심학적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 퇴계 심학은 리와 심을 구분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심과 리의 합일[心與理一]을 추구하는 수양론적 의미가 강하고, 양명의 심학은 심즉리(心卽理)로서 본체론적 의미의 심학으로 구분된다. 퇴계 심학이나 양명 심학이나 진리의 객관성보다도 그것이 나의 실존에 와 닿아야 참된 것이라고 보는 점에서 진리의 주체성・실존성을 중시하고, 이론적 탐구보다는 실제적 실천을 강조하는 공통점이 있다. 퇴계는 많은 고전 가운데 특히 『心經附註』를 매우 중시하였다. 『심경부주』에 대해 제자들과 주위에서 많은 문제점을 지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심경부주』에 대한 퇴계의 존숭은 결코 변하지 않고 지속되었다. 퇴계가 『심경』을 좋아하고 중요한 텍스트로 여겼던 것은 그의 심학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학도」를 통해서 보면 도심과 인심, 천리와 인욕 사이의 마음의 갈등상황에서 “存天理遏人欲”을 위한 심성 수양공부의 방법이 심학의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수양공부를 통해 심학은 공자의 “從心所欲不踰矩”나 맹자의 ‘不動心’과 같은 성인의 마음 즉 ‘心與理一’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 주목적인 것이다. 퇴계 심학은 20세기 프랑스 정신주의 철학자 루이 라벨(Louis Lavelle)의 철학과 유사한 공통점이 있다. 즉 존재의 원천으로서의 절대적 존재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물질에 대한 정신의 존재론적 우위, 마음의 눈을 안으로 돌리는 향내적 자각을 강조한다. 퇴계 심학은 단순히 종교적・도덕적 금욕주의로 회귀하자는 것이 아니라, 참된 존재의 욕망을 충족시킴으로써 깊은 차원의 희열을 추구하는 것이다. 심학의 정신주의 철학은 현대인에게 새로운 차원의 즐거움과 삶의 양식을 보여줄 수 있다. 퇴계의 주자학적 심학은 양명의 심학이 지닌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그것의 한계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래서 선학의 폐단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심학이 지닌 생생한 실존적 체험의 생명력을 주자학에 끌어들려 주자학의 새로운 재활성화를 추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oegye’s simhak in relation to spiritualism. In general, we call Chu Hsi's learning "lihak" (the learning of principle) while Wang Yangming's learning is described as "simhak" (the learning of mind). However, we sometimes call Toegye's learning "simhak" in spite of his respect for Chu Hsi's philosophy of li. Toegye's simhak is different from Wang Yangming's. Nonetheless, Toegye too, highlighted the existential meaning of truth. Toegye regarded simgyung (the book of min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assics for self-cultivation. As is well known, Toegye's main concern was concentration on mind and heart cultivation. Toegye understood li as a spiritual being, which can actualize itself. The goal of simhak is to become a sage. For a sage,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moral norm and human desire. To become a sage, Toegye develop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mind cultivation. Toegye's simhak has some common characteristics with Louis Lavelle's philosophy of spiritualism. Both Toegye and Louis Lavelle lay great emphasis on self reflection and spiritual life. In particular, Toegye developed the concrete method of mind cultivation. In the 21st century, human beings are confronted with spiritual crisis in many aspects. Toegye's simhak can be advanced as useful wisdom to keep one's mind in a peaceful and harmonious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