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고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답안 반응을 유형별, 성취수준별로 분석하여 고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이 되는 문항은 서답형 1번과 서답형 2번 문항으로 각각 집합과 명제, 수열 단원에서 출제 되었다. 학업성취도에 응시한 452,516명의 전체 집단의 평가 결과를 제시하고, 층화군집 방식으로 표본 추출된 7,486개의 서답형 문항 학생 답안 반응을 분석하였다. 더욱 상세한 분석을 위해 210개의 문제해결 과정 사례 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함으로써 답안을 유형화 하였다. 유형화 된 답안별로 학생들이 나타내고 있는 오개념을 알아보고,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유형별 및 성취수준별 교수·학습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high school mathematics by analyzing the students' responses on constructed response items from 201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by category and achievement level. The test items, the constructed response item 1 and 2, were set from the range of “set and proposition” and “sequence”. The results of 452,516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presented and the responses of the 7,486 constructed response items were sampled by the stratified cluster method were analyzed. For more detailed analysis, 210 cases of problem solving procedure were conducted and categorized into meaningful responses. From the results of categoriz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the misconceptions which students had were examined and these were interpreted for teaching and learning high school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