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신임교사가 갖추어야 할 직무역량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서 규명하고, 규명된 직무역량별로 현장의 요구를 상향식으로 조사하여 직무역량별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IPA 분석을 교육학에서 활용하고자 할 때, 전통적인 분석틀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의 효과크기를 고려한 상대적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육 교원, 관리자, 교육전문직 종사자들은 교육 가치와 관계 영역 직무역량이 가장 시급히 신임교사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제시하였고, 교육 가치 영역 중 교사의 윤리의식과 공감 역량, 관계 영역 중 갈등 해결 및 관리역량을 구비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1차적으로 초등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과정으로 구체화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new teacher’s job competency by previous studies, and to analyz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using survey questionnaires. Nex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PA should be considered educational field’s specialty such as effect size of Cohen’s d. Thus,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IPA shortcom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acher, manager like a principal, supervisor consider education value and relationship competency should be first educated for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 Specifically, as a education value area, new teacher have a competency to be ethics and sympathy and as a relationship area, he(she) have a competency to manage and to solve conflict with other stakeh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