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말 급속히 진행된 산업화는 대기업이 중심이 되는 조직자본주의 부상을 야기하였다. 그리고 거대 조직의 톱니바퀴와 같은 존재가 된 중간계급 남성들의 거세의식이 증가되면서 이상적 남성성에 대한 표준이 변화하였다. 경제적 독립을 위해 정진하는 남성을 상징하던 창백한 얼굴과 마른 몸매 그리고 이성과 절제력과 같은 정신적 덕목을 대신하여 육체성과 호전성이 남성의 새로운 표상으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노동자의 문화였던 스포츠는 남성의 문화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스포츠는 가부장제 사회의 일종의 안전판 역할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결과의 불가예측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는 인종적 질서가 확립되고 전복되는 불안정성의 장소가 되었다. 최초의 흑인 헤비급 복싱 챔피언이었던 존슨이 만들어낸 파장은 이러한 스포츠와 인종 질서 간의 양가적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불안정 속에서 한 명의 운동선수를 흑인 내부의 사회적 갈등을 고려에 두지 않은 채 인종집단 전체의 희망을 부여받은 비극적 저항자로 묘사할 경우 흑인의 피지배자로서의 단일성을 강조하고 인종주의의 엄혹성을 고발할 수 있는 반면 바로 인종의 대표자란 용어에 부여된 계급적 성격과 흑인 내부의 사회적 경계에 따른 균열적 요소를 간과하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본고는 1908년에서 1913년 사이 최초의 흑인 헤비급 챔피언 존슨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본질주의적이었던 기존연구를 비판하고 인종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사회적 범주로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The rapid industrialization that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aused the emergence of organized capitalism dominated by large corporations. This change in the economic paradigm had far-reaching social impacts. The ideal standard of masculinity also changed, as middle-class men became the cogs of gigantic organizations and felt an increasing sense of emasculation. Instead of mental virtues such as reason and temperance symbolizing a man devoted to economic independence, physicality and aggressiveness became manl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physical sports, which was a part of workers’ culture, began to spread to middle-class men. Sports acted as a kind of safeguard for patriarchy. However, in terms of race, the unpredictability of the outcomes of the game has become a place of instability in which racial order is established and overthrown. The personal life of the first black heavyweight boxing champion, Jack Johnson, was a demonstration of this instability. However, when describing an athlete as a tragic representative of a racial group, without considering social conflicts within African Americans, African Americans were constructed as a dominated and unified cultural group. This viewpoint ignores the class character of the term, ‘a race man’ or ‘the representative of race’ and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on of social boundaries. Illuminating the controversy surrounding Jack Johnson from 1908 to 1913, this paper explains race as a social category which is being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without being trapped in racial essent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