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금융업, 제조업,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761명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팀 내에 느끼는 구성원들의긍정감정과 자기효능감이 관계적 응집성과 다양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것이 역할 외 행동에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다. 특히 긍정감정과 자기효능감이 특정 결과변수에 차별적인 영향력을미치는지를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관계적 응집성과 다양성 태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일조하고자 한다. 팀원들과 협력적이고 단합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관계적 응집성은 팀원들간의 교환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감정이 수반되어야 서로의 관계를 지속하고자 하는 동기가 생길 수 있다는점에서 자기효능감 보다는 긍정감정에 의해 영향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긍정감정은 자발적인행동의 충전소이자 자발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반면, 특성 및 배경이 자신과상이한 팀 동료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다양성 태도는 다양성의 긍정적인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다고하는 의식적이고 인지적인 프로세스라는 점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더 많이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설정하였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높아짐에 따라 업무에 대한 자신감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형성에대한 자신감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성이 가지는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계적 응집성과 다양성 태도가 궁극적으로 강제성이 없는 역할 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보았다. 역할 외 행동은 직무수행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지만 조직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맥락적 성과라는점에서 중요한 결과변수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측대로 관계적 응집성에대한 긍정감정의 영향력이 자기효능감의 영향력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양성 태도에 미치는긍정감정과 자기효능감의 영향력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규명되었다. 즉, 긍정감정과자기효능감 모두 다양성 태도에 강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에 대해 느끼는관계적 응집성과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긍정적인 태도는 모두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역할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조직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역할 외 행동을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정서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 모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과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구성원들의 긍정감정과 자기효능감의 역할이갖는 실무적 함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empirical research shows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 within the team and self efficacy on relational cohesion and diversity attitude. And we also verify the effect of relational cohesion and diversity attitude on employees' extra-role behavior. Especially through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for differential effect of positive emotion and self efficacy, we hypothesize that the impact of positive emotion on relational cohesion would be stronger than self efficacy's influence and the impact of self efficacy on diversity attitude would be stronger than positive emotion's influence. These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lational cohesion is one of an affect related variable and diversity attitude is much more cognitive factor. And we also test the effect of relational cohesion and diversity attitude on employees' extra-role behavior which is essential factor for sustainable organization. Our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1: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and relational cohesion will be stronger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nd relational cohesion. H2 :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nd diversity attitude will be stronger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and diversity attitude. H3 : Relational cohes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extra-role behavior. H4 : Diversity attitud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extra-role behavior.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 within team and self efficacy,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of 761 employees who work in banking industry,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The data was proceeded with SPSS WIN 21.0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 also used Lisrel 8.52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mplemented on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decrease the possibility of common method bias. Findings of our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emotion has a stronger and positive effect on relational cohesion rather than self efficacy significantly. However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 and self efficacy have same positive effect on diversity attitude which means affect and cognition both are critical and important antecedent for generating positive diversity attitude for employees. The finding also indicated that relational cohesion and diversity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extra-rol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