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병강은 학계에서 아직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지만, 한말 의병에서 시작해 1930년대 연해주, 중국 동북, 관내지역에서 구국활동을 벌였다. 그는 유인석의 제자로서 한말 의병의 중요한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히며, 1906년 중국 동북지역으로 건너가 의병활동에 필요한 정보전달, 자금모집, 한인농장개발, 한인단체 조직 등을 추진하였다. 의병활동이 침체기에 접어들자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관내지역으로 옮겨 활동을 계속해 나갔다. 관내지역에서는 주로 한중혁명과 배일사상 고취를 위한 『사민보』의 편집에 참여하였고, 1920~1930년대에는 피체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중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항일강연을 함으로써 전파력과 호소력 있는 강연 솜씨로 한국독립운동을 선전하였다. 뿐만 아니라 중국 측 우호인사들과 교류하며 한국에 대한 지지를 부탁하였고, 일본제국주의의 잔혹한 통치상을 폭로하며 중한민족의 연대를 호소하였다.


Park Byeong-gang(朴炳疆) is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se contribution hasn’t been fully acknowledged. He is active from the Righteous Army(義兵) movement to the 1930s, firstly in the Russian-Korean borderlands, then in China. As a disciple of Yu In-seok(柳麟錫) and one of crucial members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Park comes to North-East China in 1906,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raising money for the Loyal Army movement, and organizing Korean immigrant farms and associations. After the Righteous Army movement fails, Park comes to the southern parts of China and continues his independence activists. He participates in the start and editing of Simin News(四民報) which advocates anti-Japanese ideas and China-Korean friendship. In 1920~30s, he actively give speeches on Korean independence in many places in China, exposing the cruelty of Japanese colonial rule, calling for China-Korea mutual help and support from Chinese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