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국경을 넘는 이주여성의 문제를 한국사회에서 들끓는 여성혐오와 결부시켜 다루었다. 그간 디아스포라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으나, 디아스포라를 대상화하는 연구에서 나아가 디아스포라를 국내외적인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와 연관해서 다루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거시적/미시적 관점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감정인 혐오/여성혐오에 주목했다. 국경을 넘는 이주는 자본의 전 지구화에 따른 불가피한 현상이며, 이주의 여성화, 이주의 가정주부화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한국에서도 이주/여성은 대개 한국사회에서 해체된 가족을 봉합하는 역할을 떠맡거나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을 도맡아왔다. 이러한 사정은 이주여성의 사회적 위치가 불안하며 취약할 수밖에 없는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덧붙여 한국사회에 들끓는 혐오와 여성혐오의 분위기는 이주여성의 위치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혐오는 계급적, 젠더적, 인종적 차이로 구축된 위계구조가 차별을 정당화하면서 만들어지는 사회감정이며, 역사적으로 축적된 감정이라는 점에서 대개 일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발현된다. 여성혐오의 형태로 가시화되었지만, 혐오는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타자에 대한 구조적이고 제도화된 차별의 표출이다. 이러한 디아스포라 감성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금희의 소설 「옥화」나 「노마드」, 영화 <미씽>을 통해 한국사회에 등장한 여성혐오를 여성 범주의 내적 차이를 고려하면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관습화된 혐오에 사회적 불안을 처리하는 통치술인 인종혐오가 숨겨져 있음을 확인했다.


This paper deals with cross-border immigra rampant in Korean society. link the diaspora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and Korea. macro/micro viewpoint n Migration across the border is an unavoidable phenomenon due to the globalization of capital, and characterized by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Korea, mmigrant bodies have in Korean societyone of the reasons why ocial position unstable and vulnerable. The social position of immigrant women even worse in society. atred is a social emotion hierarchy of class, gender, and racial differences. atred is usually expressed in a routine and unconscious mannerhe manifestation of structural and institutionalized discrimination against social others in society. Kumhee’s novel “Okwha” “Nomad” and Korean film “Missing”. that racial hatred is hidden as atechnique for social un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