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세월호 재난 이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자녀를 잃은 부모 17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심층면담 자료는 Krippendorff(2004)가 제안한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4가지 차원(‘심리정서적 차원’, ‘신체적 차원’, ‘인지적 차원’, ‘행동적 차원’), 25개 범주, 94개의 의미내용이 도출되었다. 심리 정서적 차원은 ‘무기력한 일상생활’, ‘우울의 늪에 빠짐’, ‘분노와 원망 삭히기’, ‘공황증상’, ‘자살충동에 휩싸임’, ‘예민해지고 의심이 많아짐’, ‘쉽게 짜증과 화를 내며 신경질적이게 됨’, ‘사회적 공감능력의 상실’ 8가지 범주, 신체적 차원은 ‘시력, 청력 문제’, ‘신경성 두통 및 팔, 다리, 허리 통증’, ‘소화기 계통 이상 증상’, ‘불면’, ‘면역력, 체력 저하’, ‘여성 질환’, ‘갑상선 이상’, ‘혈압 문제’, ‘치과 문제’, ‘췌장염’ 10가지 범주, 인지적 차원은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죽음에 대한 의미 변화’, ‘내 삶의 의미에 대한 변화’ 4가지 범주, 행동적 차원은 ‘불규칙한 식습관’, ‘흡연량의 증가’, ‘음주에 관한 절제력 상실’ 3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ternal experiences and lives of the bereaved parent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2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from 17 parents who lost their adolescent chil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by 4 dimensions (‘psychological-emotional’, ‘phys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and 25 categories with 94 meaning contents emerged under these dimensions. The psychological-emotional dimension included lethargy, depressive moods, anger suppression, panic symptoms, suicidal thoughts and attempts, increase in sensitiveness and suspicion, irritability, and decline inempathy. The physical one included loss of sight and hearing, chronic pain, amnesia, and other significant physical deterioration. The cognitive one included decline in memory, attention deficit, transition of the meaning of death, and change in the meaning of life. The behavioral one included poor diet, increase in smoking, and self-regulatory failure in alcohol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