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정체성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러티브 수퍼비전을 통해 상담자가 어떤 경험을 하는지와 수퍼비전에서의 은유 활용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 상담자 6명을 대상으로 면접하였다. 단, 상담 경력에 따라 수퍼비전의 경험이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담자들의 상담 경력은 3년에서 13년에 해당되고, 이들이 수퍼비전을 받았던 시간은 13시간에서 70시간에 해당된다. 면접 내용의 축어록을 풀고 코딩한 후 사후 설문지 내용도 함께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러티브 수퍼비전을 통해 전문상담자들이 경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 경력이나 수퍼비전 경험 시간에 관계없이 은유를 활용한 내러티브 수퍼비전은 수퍼바이지가 내담자에게 기여한 부분과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을 발견하게 도왔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 호혜적 관계임을 언급했고 상담자로서의 정체성 이야기를 함으로써 신앙의 역할과 가치를 발견하거나, 신앙을 통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다룰 수 있음을 언급했다. 둘째, 내러티브 수퍼비전 과정에서 은유를 활용하는 것은 시각적 기억과 자각을 돕고 자신이 가진 자원과 보완점을 발견하게 할 뿐 아니라 추후 가져가야 할 상담자 지표를 찾게 도왔다. 은유를 활용한 내러티브 수퍼비전에 적용할 수 있는 발자국기법은 기존의 수퍼비전과 다른 경험이라고 자각할 수 있게 도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supervise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narrative identities and using metaphor in narrative approach supervision. In order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upervisee in narrative approach supervision, it is interviewed six counselors who have been supervised for licensed counselor. The time of supervision experiences in supervisee group is from 13 times to 70 times. All of data in interview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 after survey form was analyzed, too.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which the supervisee’s experiences during narrative approach supervision with metaphor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duration of career in counseling job and supervision time, via the experiences in narrative approach supervision with metaphor, Supervisee could find what kind of intervention they did in process,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clients, the value in Christianity as a counselor, which is dealing on counselor’s burnout. The second, The using with metaphor in supervision could help to find visual memories and awareness, their resources, supplement and forward milestone. In the using with metaphor in supervision, the tracking method is useful to let supervisee think that narrative approach offer different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