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orean Commercial Act adopted the article Ⅲ, rule 1 of the Hague-Visby Rules in respect of a carrier’s duty to provide a shipper with the seaworthy ship and therefore, the carrier should exercise the due diligence in terms of seaworthiness before and at the beginning of the voyage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94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However, it is unclear what it exactly means for the carrier to exercise the due diligence in terms of seaworthiness. The author opines that the strict criteria for the carrier’s due diligence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at the carrier is entitled to seek the exemption of liability as per the article 795 (2) and 796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In this regards, it is noteworthy that the English Court has applied the test of prudent carrier in deciding whether or not the carrier exercised the due diligence in terms of seaworthiness. Therefore, the author analyses the test of prudent carrier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English cases and suggests its implication. Even though the Korean Commercial Act adopted the Hague-Visby Rules, the legal principle for the exemption of liability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are stipulated differently from that of the Hague-Visby Rules. In other words, the carrier should bear the burden of proof for his due diligence in terms of seaworthiness as per the article 794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if he invokes the exemption of liability arising out of the navigational error or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article 795 (2), but once he invokes the exemption of liability in connection with the occurrence of the events described in the article 796, the burden of proof for the carrier’s diligence is shifted to the claimant. Furthermore, it is unclear who should bear the burden of proof for not only unseaworthiness itself but also the casual connection between the unseaworthiness and the loss of or damage to cargo with regards to the application of the article 794, 795 (2) and 796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Bearing those issues in mind, the author studies and proposes the balanced burden of proof between the carrier and the claimant in order to reasonably coordinate the interests.


운송인이 송하인에게 감항성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여야 함 의무와 관련하여 상법은 헤이그-비스비 규칙 제3조 제1항을 수용하였는바, 운송인은 상법 제794조에 따라 발항 전에 감항성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의무를 다하여야 한다. 그러나 운송인이 감항성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의무를 다하여야 한다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는 않다. 필자는 운송인이 상법 제795조 제2항 및 제796조에 기해 면책 항변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운송인의 상당한 주의의무에 관하여는 좀 더 엄격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영국 법원은 운송인이 감항성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를 다였는가를 결정함에 있어 신중한 운송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필자는 영국 판례를 통하여 발전한 신중한 운송인 기준을 분석하여 그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법은 비록 헤이그-비스비 규칙을 수용하였지만 운송인의 면책에 관한 법리는 헤이그-비스비 규칙의 그것과 달리 규정되어 있다. 즉, 운송인은 상법 제795조 제2항의 항해과실이나 화재에 의한 면책을 주장하는 경우 감항성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를 다하였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반면에, 운송인이 일단 상법 제796조의 소정 사유에 따른 면책을 주장하면 운송인의 상당한 주의에 대한 증명책임은 청구인으로 전환된다. 더 나아가, 상법 제794조, 제795조 제2항 및 제796조의 적용과 관련하여 불감항 내지 불감항과 화물의 멸실 또는 훼손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을 누가 부담하는지도 불분명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염두하고 필자는 운송인과 청구인 사이의 이해관계의 합리적 조정을 위해 운송인과 청구인 사이에 균형 있는 증명책임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