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기관 상담자의 상담기록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8월부터 9월에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모두 10명으로 청소년상담기관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상담기록에 대한 청소년상담기관 상담자의 경험은 9개의 구성요소와 23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9개의 구성요소는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에게 필요함’, ‘책임이자 의무라고 생각함’, ‘회의감과 의구심이 있음’, ‘개인적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활용함’, ‘객관적인 평가와 외부적인 요구에 공식적으로 응함’, ‘잘 활용하지 않음’, ‘지침의 부재로 인한 혼란스러움’, ‘과중한 업무로 여겨짐’, ‘부담감을 느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청소년상담기관 상담자의 상담기록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counselors’ experience of counseling records in youth counseling institut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counselors of various youth counseling institut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was used dur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counselor in youth counseling institute about counseling records was derived from 9 constituents and 23 subconstituents. The 9 constituents were 'necessary for both counselor and client,' 'responsible, responsible,' 'skeptical and doubtful,' 'leading to personal use,', 'Not using it well', 'confused by the absence of guidelines', 'considered to be heavy work', and 'feeling of burden'. Through this study, the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s of counselors were presented and their significance was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