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양소유는 여덟 아내를 거느리고 욕망을 거리낌 없이 충족하며 영화로운 삶을 살았다. 이러한 삶에 현대 독자가 감정을 이입하기란 쉽지 않았다. 이 글은 양소유의 행적이 아닌, 심리 구조에 주목했다. 이러한 작업으로써 독자가 감정을 이입할 통로를 탐색했고 문학치료 자원으로서 〈구운몽〉이 지닌 또 다른 가치를 조명했다. 양소유의 심리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틀은 ‘자기복잡성’이다. 자기복잡성은 조절변인에 따라 스트레스 요인이 되거나 심리 자원으로 기능했다.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감, 자기구획화에 따라 양소유가 지닌 자기복잡성은 심리 자원이 되기도 했고 스트레스 요인이 되기도 했다. 양소유는 영화롭게 살았다. 그러나 진정으로 행복했는지 여부는 논의할 지점이 있다. 양소유는 자동적 사고로 부귀영화를 행복으로 귀결시켰다. 공사다망하며 영화로운 삶을 살던 양소유는 퇴사한 뒤 참선을 통해 사문이 될 결심을 했다. 그는 한 적없는 색다른 행위를 자발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자동적 사고를 돌아봤다. 자기통제감을 지니고 실천한 행위를 통해 자동적 사고를 끊고 진정으로 원했던 삶을 선택했다고하겠다.


Yang So-yu is living a glorious life of having eight wives. A wealthy life of keeping eight wives is unrealistic. Thus, it is hard for readers to feel empathet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Yang So-yu and to create a passageway into which readers are able to bring their empathy. The analytical tool used to analyze Yang So-yu’s psychological structure in this paper is ‘self-complexity’. Yang So-yu is shifted from low self-complexity toward high self-complexity. Self-complexity features a buffering effect or a spillover effect on stress. Yang So-yu gets highly stressed out as ghost Gachunun leaves as low self-complexity elevates stress. Meanwhile, he was less stressed when he was adopted as a son-in-law of the king, which indicates high self-complexity buffers stress. Upon resignation, he decides to become a monk through Zen meditation. He voluntarily wrapped up his perceived knowledge of himself. Self-control based on the utility of self-complexity and spontaneity is considered to leav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ose who engage in literary therapy and readers of Guunmong.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