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독일에서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시립도서관 건립 붐이 일었다. 이 시기 독일의 시립도서관 설립과 운영을 평가하기 위해 필자는 베를린의 사례를 살폈다. 베를린에서 시립도서관의 역사는 1850년 국민도서관 설치로부터 시작한다. 1896년에는 열람실이, 1907년에는 ‘베를린 시도서관’이 개관했다. 베를린에서 시립 국민도서관들은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도서관이 ‘공공’의 시각에서 추진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국가나 시정부는 시립도서관 추진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도서관설립의 추진력은 사회지도층이나 학술강연클럽과 같은 단체였다. 그렇기에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배려는 처음부터 부족했다. 그 배려의 부족함은 도서관 이용자 수에서 확인된다. 또한 노동자들의 도서관으로 알려진 하이만의 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비록 베를린의 시립도서관들은 처음부터 공공도서관의 모습은 아니었지만, 반세기를 거치면서 서서히 변해갔다. 이 논문에서는 도서관의 문제들과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을 소개하며, 그 과정에서 베를린의 시립도서관들이 시의 시설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covers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city libraries in Berlin as a case study. During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many city libraries were founded in Germany. The Berlin city government also managed the municipal libraries : the people's libraries since 1850 and reading rooms since 1896. In 1907 the ‘Berlin City Library’ was opened as a central library.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libraries was influenced by community leaders and the Association for Scientific Public Lectures. They did not consider these libraries as public facilities for all citizens. So the municipal libraries had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regarding opening hours, age requirements, lack of reading rooms and bureaucratic formalities. The number of the libraries users was small. But in the H. Heimann’s Library as a facility for lower classes, the number of the users increased. The municipal libraries changed slowly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Reading rooms were installed and the ‘Berlin City Library’ was managed by experts and with an increasing budget. Such processes could be good stepping stones for a public librar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