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고, 재발 및 각막부전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헤르페스각막내피염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58명 5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진 시 전신질환, 시력, 안압, 세극등현미경 임상소견과 각막내피세포수, 중심각막두께를 측정하였고, 치료 후 시력, 안압, 중심각막두께를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재발 및 각막부전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58안 중 45안(77.6%)에서 원판형, 11안(19.0%)에서 미만형, 2안(3.4%)에서 선형의 임상양상을 보였다.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종류별로 치료 후 결과를 비교분석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4안(24.1%)에서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이 재발하였으며,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이 재발하였던 군은 재발하지 않았던 군에 비하여, 초진 시 안압이 높았고, 전방 내 염증이 많았다. 다변량분석에서 헤르페스각막내피염 재발의 위험인자는 안압이었다. 각막부전은 8안(13.8%)에서 발생하였으며, 각막부전이 발생한 군은 각막부전이 발생하지 않았던 군에 비하여, 초진 시 안압이 높았고, 전방 내 염증이 많았으며, 백내장수술을 시행 받은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가 많았다. 다변량분석에서 각막부전의 위험인자는 전방 내 염증 및 백내장수술 기왕력이었다. 결론: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아형별로 치료 후 임상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재발의 위험인자는 초진 시의 높은 안압, 각막부전의 위험인자는 많은 전방 내 염증 및 백내장수술의 기왕력임을 알 수 있어, 초진 시의 임상양상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헤르페스각막내피염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herpetic endotheliitis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and corneal decompens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58 patients (58 eyes) who were diagnosed with herpetic endotheliit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a follow-up period of less than 6 months and a previous history of ocular inflammation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recorded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on both initial and final visit, and recorded clinical findings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s of the eye only on initial visit. Factors affecting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and corneal decompensation were also analyzed. Results: Among the 58 patients, 45 patients had disciform type endotheliitis, 11 patients had diffuse type, and 2 patients had linear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nal clinical manifestations according to subtype. 14 patients exhibited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High intraocular pressure and high-grade anterior chamber cells were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only risk factor for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was high intraocular pressure. We found that 8 patients exhibited corneal decompensation, and high intraocular pressure, high anterior chamber cell grade, and a history of cataract surgery were associated with corneal decompensation.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corneal decompensation were high anterior chamber cell grade and cataract surgery history. Conclusions: For herpetic endotheliitis, the subtype did not affect the final records of clinical manifestation, and the only risk factor for the recurrence of herpetic endotheliitis was high intraocular pressure. Additionally, the risk factors of corneal decompensation were found to be high-grade anterior chamber cells and a history of cataract surgery. Initial examinations of clinical manifestation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treatment of herpetic endotheli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