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문계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를 진단하고 상태를 알기 위해 진로동기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사용하여 인문계고등학생의 입장에서 진로동기 형성과정을 밝힘으로써 맥락에 적합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공계 교과 담당교사에게 이공계 직업을 결정하고 직업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있는 학생을 추천해달라고 부탁하여 인문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1명, 여학생 21명 총 4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319개의 개념과 56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문계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은 ‘이공계관련 직업을 생각하게 된 계기’라는 인과적 조건과 ‘학교 안팎의 이공계관련 교육과 경험’이라는 맥락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자기이해와 이공계 직업이해’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사회적 지지와 장애물’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공계 직업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의 전략을 사용하여 ‘이공계 진로에 대한 만족감’의 결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 핵심범주, 유형분석을 통하여 진로동기 관련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진로동기이론과 학교 안팎의 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실질적인 이공계 진로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appropriate to the context by identifying the career motivation form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non 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sampling by artificially reputational case selection methods. Forty two highschool students(21 male, 21 fe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mainly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1998). According to the results, 319 concepts and 56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n the open coding process.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mation of STEM career motivation were influenced by contextual conditions of "STEM-related career think that the instruments' causal conditions and 'STEM education experience i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named ‘STEM career understanding and self-understanding' using the strategy of being influenced in interventional conditions of social support and obstacle 'for the central phenomenon of "STEM efforts to achieve career goals, it appeared as a result of" satisfaction for STEM careers. And it had a 5-step process over time that the formation process of STEM career motivation. This is expected to provide homes, schools, communities, and contribute to have a new insight on the education of the country, given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and the basic data used to develop and apply STEM care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