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신병질 특성을 지닌 사람들의 정서 처리를 알아보기 위해 암묵적 연합 검사를 이용해서 사건관련전위를 분석하였다. 정신병질적 성격 검사 개정판에 의해 13명의 정신병질 특성집단과 13명의 통제집단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암묵적 연합 검사는 사진자극과 단어자극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진자극은 행복과 공포의 얼굴표정을 사용하였고 단어자극은 긍정단어(예: 축하)와 부정단어(예: 고통)를 사용하였다. 또한 암묵적 연합 검사는 일치과제와 비일치과제로 나누어지는데, 일치과제는 행복표정과 긍정단어가 한 쌍, 공포표정과 부정단어가 한 쌍으로 동일한 버튼을 누르고, 비일치과제는 공포표정과 긍정단어가 한 쌍, 행복표정과 부정단어가 한 쌍으로 동일한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비일치과제의 사진자극에 비해 일치과제의 사진자극에서 전두영역과 중심영역에서 Late Positive Potentials 진폭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반해 정신병질 특성집단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일치과제의 단어자극에 비해 일치과제의 단어자극에서 전두영역, 중심영역, 두정영역에서 Late Positive Potentials 진폭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반해 정신병질 특성집단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 특성집단이 정서 처리에 결함을 보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corded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an implicit association te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al processing in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raits. On the basis of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Lee et al., 2008),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psychopathic traits (n=13) and control (n=13) groups.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nvolved pictures (happy and fear faces) and words (positive and negative words). Compared to the picture stimuli in the inconsistent task, the picture stimuli in the consistent task elicited larger late positive potentials amplitude in the frontal and central regions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is pattern was not observed in the psychopathic traits group. Compared to the word stimuli in the inconsistent task, the word stimuli in the consistent task elicited larger late positive potentials amplitude in the frontal, central and parietal regions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is pattern was not observed in the psychopathic traits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psychopathic traits have difficulties in emotional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