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무원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허위진술은 그것이 공무원의 오인이나 착오 또는 부지를 일으켜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형적인 위계의 방법이라고 할 것이므로, 원칙적으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한다고 하여야 한다. 다만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 대한 허위진술행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모든 허위진술행위가 이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허위진술의 상대방이 사실여부를 조사할 권한이 있거나 그 직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자발적 진술에 의하여 공무원으로 하여금 직무집행을 시작하도록 한 경우에는 구두진술로 족하다고 할 것이나, 국가기관의 필요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허위진술의 경우에는 그 확정성내지 불가변성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서면에 의한 허위진술이어야 하고, 그 서면이 서명이 있거나 자필로 작성된 것임을 요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허위진술이 새로운 사실관계의 창출 없이 단순히 질문내용을 부인하는 진술에 그친 경우, 그것이 비록 허위라 하더라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를 구성하지 아니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한 단순한 사실관계에 대한 부인은 허위진술이 실질적인 내용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소극적인 진술거부에 불과한 것으로서 진술거부권의 내용으로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형법은 국가의 사법기능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여러 가지 절차범죄를 두고 있고, 이들 절차범죄의 보호법익인 국가의 사법기능도 결국 공무라고 할 것이므로 이들 범죄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와의 관계가 문제로 된다. 피고인이 적극적으로 허위진술을 하는 경우 증인적격이 없으므로 위증죄는 성립하지 아니할 것이나, 그러한 허위진술은 진술거부권의 내용이라고 볼 수 없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며, 증거인멸을 위하여 허위진술을 하는 행위도 소극적인 증거인멸행위를 넘어 적극적인 공무원의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이므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를 구성한다고 하여야 한다. 허위진술에 의한 범인은닉・도피죄와 관련하여서는 자기도피행위가 문제로 될 수 있으나, 공무원에 대하여 행해지는 허위진술에 의한 자기도피행위는 범인은닉・도피죄를 구성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가벌성이 인정될 뿐 아니라, 형법상 구성요건으로 이를 배제하고 있지도 아니하기 때문이다. 다만, 범인은닉・도피죄가 성립하는 경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대하여 특별관계가 인정된다고 보아야 하므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허위진술행위가 무고죄를 구성하는 경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할 여지는 없다고 하여야 한다. 양자는 특별관계로 보아야 할 뿐 아니라, 법정형도 무고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As false statement against public officials intends to serve a specific purpose, such as causing misconceptions, mistakes and dismissal for officials,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must be qualified as a crime. Nonetheless, whilst false statement against public officials is eligible as a form of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this eligibility does not indiscriminately extend over all forms of false statement. Correspondent to false statement must be an official either with the authority to investigate its factual accuracy or with the responsibility to do so. In cases that an individual prompts an official to investigate through the individual’s voluntary statement, verbal statement is sufficient. However, in cases that false statement gets passively established due to government needs, thereby requiring the premise of certainty, consistency, and assurance, false statement must be in writing, with signatures or one’s handwriting. Meanwhile, if false statement takes the form of simple denials to questions, despite denials qualifying as false statements,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does not get established. Simple denials to actuality of events do not form coherent and practical content, and are considered only as a passive form of refusal of statement, and therefore is categorized as refusal of statement. Criminal Act encompasses process crimes, which relies on judicial function of benefits and protection of the law. Process crimes that pertain to false statement include perjury, destruction of evidence, harboring criminal, false accusation, and more. Since judicial function to process crimes must be considered government affair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 crimes and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becomes problematic. With regards to defendant, recognition of refusal of statement deprives a defendant from getting recognized as a witness. Regardless, should a defendant choose to actively give false statements, the statements cannot be counted as a form of refusal of statement, and therefore, are eligible as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False statements must not be considered destruction of evidence, as evidence itself must be destructed for crime of destruction of evidence to be established. However, false statement performed in order to destruct evidence extends over the boundaries of passive destruction of evidence, and is considered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Therefore,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gets established. In harboring criminal through the means of false statement, self escape can be a point of contention. However, if harboring criminal by false statement satisfies corpus delicti, harboring criminal does establish itself as a crime. In such case, punishability gets acknowledged, and criminal law does not exclude these actions in determining prerequisites. Further, once harboring criminal does get established, its special relationship with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disqualifies the later to be recognized. False statements by false accusation and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in principle demonstrate close resemblances. When false statement consists of false accusation, however, it leaves no room for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 to be established. Not only the special relationship gets confirmed, but also statutory punishment for false accusation is more severe than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by fraudulent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