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 (CEAs) on the learning attitudes, linguistic development, and other aspects of the affective domain of underprivileg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hinking skills may positively affect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who have psychological disorders and/or come from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backgroun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 students from a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CEA-based experimental lessons were given over a period of seven weeks. In the CEA-based classes, six types of creative activities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ople were used. In this study, one pre- and post survey, one pre- and post-test per unit, and one semi-structured post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toward CEAs, experienced linguistic achievement, and saw positive effects on both their learning attitudes and affective domain.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ility of using CEAs to support the learning not onl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linguistic and emotional improvement but also that of students in other schools as well. Thus, further studies that could explore the effect of using CEAs on the linguistic and affectiv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불우한 환경에 있어 영어의 수준이 낮고 영어에 대한 흥미도 없는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창의성 함양 활동을 통해 언어적인 면이나 정서적인 면에서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에 있는 한 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1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약 7주 동안 창의성 함양 활동들을 활용한 영어수업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창의성 함양 활동들은 창의적인 사람들의 6가지 특성들을 활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수업 전․후와 실험 중 각 3개 차시 전 후에 설문을 하였고, 한번의 실험 전후 시험을 보았으며, 실험후 모든 학생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인식에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창의성 함양 활동들이 영어 학습에 더욱 효과적이며, 더욱 흥미를 갖고 배울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참여도 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이 활동들을 미래에 계속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언어적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다른 시험결과에 비해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언어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볼때 언어적인 측면이나 정서적인 면에서 매우 낮은 등급에 있는 학생들에게 창의성함양 활동들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 불우한 환경으로 인한 학습 부진과 정서적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