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교육정책의 정책-예산-평가의 선순환체제 구축을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정책성과를 극대화, 일반화 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기반을 구축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에 대한 개념, 교육정책 성과 평과 관련 선행 연구 및 교육부, 시·도 교육청 평가도구 현황을 분석하였고, 교육정책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회의, 연구진의 지속적인 협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여 정책-예산-평가 선순화체제 구축과 관련된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도출한 평가도구 초안을 경기도교육청 핵심 교육정책과 관련된 연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집단 6인의 검토 및 현장 전문가 15인의 설문을 통해 평가도구의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첫째, 경기도교육청 교육정책 평가도구 개선안 및핵심성과지표(KPI)를 제시하였다. 둘째, 경기도교육청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중장기적 관점에서 평가시스템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제안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발된 평가도구를 현장의 특수성에 맞게 구체적으로 활용하고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을 구체화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is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 for the virtuous cycle of policy-budget-evaluation of Gyunggi Province Education Office to establish the systematic environment to make the accomplishment of policy outcom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ool developed.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cepts of the virtuous cycle of policy-budget-evaluation, assessment of outcome for educational policy, some different assessment tools in many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with policy assessment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Also, the many experts in educational policy were involved in the review session to provide the insights of expertise for the assessment of educational policy.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experts meetings, and FGD (Focus Group Discussion), the first draft of assessment tool for the virtuous cycle of policy-budget-evaluation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 process. The six experts in educational policy and 15 experts in the field-based educational setting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first draft of assessment tool. Finall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presented the assessment tool and suggested the systematic environment and the blue-print for the virtuous of policy-budgetevaluation of Gyunggi Province Education Offic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specify the application and suggest the ways of implementation of the tool developed in the different fields of educational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