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한국 간호사들은 근무 환경 내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많은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호사의 회복력은 이러한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많은 요인들이 간호사의 회복력 정도에 영향을 준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회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방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리뷰하고 양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를 통해 간호사의 회복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관련 문헌의 검색을 위하여 외국 및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검색하였고, 이 결과 총 33개의 문헌들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결과적으로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변인은 큰 효과크기, 위험변인은 중간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보호변인의 직무변인군은 조직변인군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보호변인 중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위험변인의 개인변인군은 조직변인군 및 직무변인군과 비교할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그 중 개인의 스트레스 반응이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가장 크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에게 적용가능한 중재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Nurses’ resil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that nurses often encounter at clinic, and many factors have been examined which influence on nurses' resilience levels. Through this study, those factor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quantitatively synthesized. Methods: In order to find relevant studies, both English and Korean academic databases were searched, and, finally, a total of 33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included in this analysis. Results: The effect size on the protective variables was large and that of the risk variables was medium. In the protective variable group, the job variable group showed a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the organizational variable group. Among the protective variables, compassion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on enhancing the resilience level of nurses. In the risk variable group, the personal variable group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which was followed by the organizational and job variables. Among the risk variables, the personal stress response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decreasing the level of resilience of nurs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data for future studies in terms of develop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levels of resilience among Korean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