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 역사에서 춘추전국시대에 사농공상의 사회 신분체계가 형성된 이후 상인은 오랫동안 사회 말직(末職)이라는 천대를 받으며, 병풍의 역활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문인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이는 사회 주류 여론에 의한 일방적이고 지엽적 관심이었을 뿐 상인들의 입장이나 시각이 반영된 것은 아니었다. 송대 사상합류(士商合流)라는 거대한 변화를 거쳐 명대 중엽이후 국내 상업 발전에 힘입어 비로소 상인 집안 출신 사대부와 관료들의 작품에서 상인들의 자각과 의식형태가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상인 자제들은 선대가 마련해놓은 경제적 기초위에서 ‘부를 이룬 후 명예를 얻기 위해(富後求貴)’ 유학을 공부하고, 과거(科擧)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는 새로운 길을 걷게 되었다. 출사후 전국 각지에서 현실정치에 참여하는 동시에, 문인들과 교류하며 서신, 축사, 족보 서문, 애도문, 묘지명 혹은 자신의 문학작품 행간에 직간접적으로 상인의 속내를 토로하였다. 휘주(徽州) 출신으로 병부시랑을 지낸 왕도곤(汪道昆,1525-1593)은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의 집안은 조상 대대로 농사를 짓다가 조부때부터 소금 장사로 부를 축적한 뒤 자제 교육에 힘을 쏟은, 당시 휘주상인(徽州商人)들이 밟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인재 배출이 풍성했던 가정 26년(嘉靖, 1547) 급제하여 이춘방(李春芳), 장거정(張居正), 은정무(殷正茂)등 당대를 풍미한 쟁쟁한 인물들과 정치를 같이했고, 문단에서도 이반용(李攀龍), 왕세정(王世貞)등과 명성을 겨루었던 당대 대표적 문인중 한사람 이었다. 지방관리로 출발하여 동남 연해에서 왜구를 격파하여 공을 쌓았고, 북변 경계를 시찰한 뒤 관직이 병부시랑에 올라 정치와 군사방면에 뛰어난 능력과 식견을 보였다. 또한 지방관리 재직시부터 음률(音律)과 공악부(工樂府)에 능한 희곡작가(戱曲作家)로 활동하고 탄핵을 받아 고향에 기거하면서 다양한 문장을 담은 걸출한 작품집『태함집(太函集)』을 남겼다. 그는 이 문집의 235편 전기(傳記)중 112편에서 상인과 상업을 언급하며 고위 관료로는 흔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정작 정사(正史)에서는 홀대를 받아 후세의 주목을 끌지 못하였다. 1953년 일본학자 藤井宏氏는 그가 『태함집』을 통해 휘상의 활동을 입체화하였다며 휘상의 대변인이었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작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은 것은 1987년 余英時氏가 그를 사대부와 상인의 교집합이라 평가한 이후였는데, 이는 상업사 연구의 활성화라는 시대적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족적과 작품『태함집』의 대략적 분석을 통해 상업적 시각에서 과연 그가 과연 명대 상인들의 세계관을 어떻게 재현했으며 구체적으로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져 한다.


Since the system of th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 in the Ming and Qing Period in Chinese history was established, merchants had been looked down as the lowest status in the society, being remained as a role like screen. Although merchants was highlighted by writers in various ways as transitions in times, only an one-sided and minor attention by the mainstream public opinion was reflected without viewpoints of merchants. Through the grand transition of 士商合流 in Song Dynasty, as the domestic business had developed after the middle of Ming Dynasty, works by the high government officials from merchant family background revealed clearly the form of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merchants’. The descendents of merchants studied ‘to seek fame after achieving wealth’ on the economic basis of the predecessor and joined the civil service through the examination. After entering on an official career, they joined the actual politics and communicated with writers in letters, greetings, prefaces of genealogy, condolences, tombstones and their literary works which expressed their thoughts in direct or indirect ways. Wang Dao-kun (汪道昆,1525-1593) from Huizhou was a representative man, who was a Vice-Minister of the Department of War. His family showed a typical way of living of Huizhou merchants at that moment. After his ancestors had been working on the farm and his grandfather accumulated wealth from salt business, he owed his success to his family’s education. His career start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and defeated Japanese soldiers nearby seas in east-southern region. After inspection of the northern border, he became a Vice-Minister of the Department of War with outstanding ability and intelligence. Also, from the time he work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he got started writing a drama. And staying in his hometown due to impeachment, he left the prominent Tai-han Ji (太函集) which included various type writings. Even he showed uncommon aspect as a high-level government official in mentioning merchants and commerce in the chapter 112 of Tai-han Ji among chapter 235 of its biography, he failed to draw the attention of the descendents because he was neglected in the authentic history. In 1953, Japanese scholar 藤井宏 evaluated that he was a spokesman of scholar-merchants as he visualized the activity of them through Tai-han Ji. This study observes that how he described the worldview of merchants in Ming Dynasty through a rough analysis of Tai-han Ji and his works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and his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