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지난 40년 이상 작업기억을 활용한 연구들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꾸준히 증가해 왔다. 작업기억 평가와 측정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작업기억 과제에 사용되는 자극-반응 양식(언어 혹은 시공간)에 따라 편향된결과를 없애기 위해 최소 3개 이상의 작업기억을 측정하여 그 평균을 사용할 것을 권장해왔다. 하나의 작업기억과 다중 작업기억 평균 간 작업기억 용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단일 작업기억 용량과 3 개 작업기억 용량 평균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 20명의 시력 및 청력에 문제가 없는 정상성인들이 참여하여 각 5개의 작업기억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외우기 폭 검사, 계산 폭 검사, 숫자 역순외우기 검사, 회전 폭 검사, 대칭 폭 검사를 무작위로 실시하였다. 또한 피험자들의 집행주의력을 측정하기위해 그림-단어 간섭과제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관계 분석과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계산 폭 검사와 숫자 역순 외우기 검사가 3개의 작업기억 용량 평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계산 폭 검사는 그림-단어 간섭과제의 25% 불일치 조건에서 반응시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계산 폭 작업기억 과제는 모든 3개의 작업기억으로 조합된 모든 용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3개의 작업기억 검사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단일 작업기억 검사 중 계산 폭 검사하나만을 이용하여 타당한 작업기억 용량을 측정할 수 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계산 폭 작업기억 검사가 다른 단일 작업기억 검사와 비교하여 가장 타당한 단일 작업기억 검사가 될 수 있는지 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utilization of working memory (WM) has been increased for the last two decades in various academic areas. Many studies using working memory have suggested that to avoid the bias of task modalities (i.e., linguistic or visuospatial), at least three WM tasks should be used to get valid WM spans. In order to examine the bias of WM capacitie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WMs, this study explored the capacities of five single WM tasks and the average capacities of three WM tasks.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20 young normal adults without any disorder affecting WM tasks. They completed running span, operation span, backward digit span, symmetry span, and rotation span. They also completed a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with two options of incongruent proportion as the executive at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t-tests. Results: First, operation span and backward digit span as single WM task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capacities of three working memory tasks. Second, operation spa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sponse time of the 25% incongruent condition in the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s. Third, the operation span task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four combinations of the three working memory task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peration span task among single WM tasks may be used to measure a valid WM capacity, if researchers could not use at least three WM tasks due to time or other limitation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span task c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powerful single WM task compared to other W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