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그림동화에서 그림의 역할을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전개’, ‘글의 구체화를 통한 서사의 분위기와 어조 형성’, ‘공간의 적절한 사용과 배치를 통한 인물의 성격화 기여’, ‘선과 색채 등을 통한 작가의 메시지 전달’, ‘서사의 시점과 초점 변화를 통한전달 효과 극대화’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면서, 어린이 독자가 그림동화에 그려진 그림들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문식성이 필요함을 밝혔다. 나아가 그림동화를타당하게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한 틀로서 롤랑 바르트가 말한 다섯 가지 서사적 의미의코드, 즉 ‘행동적 코드’, ‘해석학적 코드’, ‘의미적 코드’, ‘상징적 코드’, ‘문화적 코드’ 등을 논의하면서, 어린이 독자가 이상독자 수준에서 이러한 서사적 의미의 코드화들을 해석하는 것이 그림동화의 이해와 해석을 위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밝혔다.


This article was first discussed what the differences fairy tale picture books have typically been referred to. Additionally, this article picture books ‘narrative developed through the plot configuration’, the role of the figure" embodies the atmosphere of the narrative through the text and tone form’, in ‘Nature Tuesday’s figures through the proper use and placement of the space contribution’ in discussing divided into "lines and colors, such as delivery of a writer message through’, and ‘maximize delivery through focus and changing the time of the narrative effect’, children’s readers to understand this role of painting on illustration fairy tale requires visual literacy He said. Furthermore reasonably understand the picture books and five of the code as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said that Roland Barthes, that ‘behavioral code’, ‘hermeneutic code’, ‘semantic code’, ‘symbolic code’, ‘cultural code’, etc. As discussed, that child readers decipher these codes involve the reader in the class said that what it means for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fairy tale fig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