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축제는 공동체를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기에 축제와 공동체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 우리나라 역시 공동체의 정치적․경제적 변화에 발맞춰 축제도 제정일치적 축제, 마을축제, 장시축제, 향토축제, 지역축제 등으로 변화해왔다. 오늘날의 주류인 지역축제는 대부분 관주도 축제로써 지자체가 예산을 투입하고 주최한다. 그러나 이들 관주도 지역축제는 축제성 보다는 관광객유입에 따른 경제 활성화 또는 단체장홍보를 목적으로 기획되며, 방문객의 효율적 수용을 위해 공연중심의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등 정치적․상업적 축제로 변질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지역축제는 만남․어울림․화해라는 축제성의 구현보다는 과시․경제․홍보를 강조하는 지역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더욱이 예산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감시하는 언론이나 시민단체 등의 압력으로 인해 일반적 지역축제의 축제성 상실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유럽제국에서 순수한 축제적 기쁨만을 강조하는 축제가 활기를 띠듯이 우리나라의 축제문화도 축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소규모축제, 사이버공동체축제의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는데, 특정한 목적을 공유하는 공동체가 추진하는 동호회 성격의 소규모축제일수록 축제성 및 지속성에서 발전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더불어 시공간의 초월이 가능한 모바일 환경에서 SNS를 매개로 다양한 동호회활동을 하거나 특정한 가치를 공유하는 사이버공동체들이 주관하는 축제들도 축제성 구현이 잘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인 소규모축제 및 사이버공동체축제의 사례가 많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문헌연구의 한계 상 축제참가자들이 느끼는 축제성의 측정을 비롯하여 축제의 예산․규모에 대한 정확한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A festival forms an inextricable link between the various parts of a community and is a unifying force. The typical Korean festival has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roughout the community. For example, exclusively religious festivals have evolved into village festivals, market festivals, hometown festivals, and local festivals. Modern festivals are mainly dominated by local governments, so tourists and residents became consumers or bystanders. Numerous netizens are connected to SNS to form friends or join cafes, forming a variety of cyber communities. Festivals leading to meetings and reconciliation will be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m happier. Therefore, small village festivals and cyber community festivals have been reviewed as part of this research. However, festivals are not only numerous, but also difficult to guarantee their continuity due to budgetary and staffing constra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umber of festivals should be increased and that participants should share and enjoy the contents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