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예비통역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체계화를 주장하며, 학습자의 통역 능력 증진과 보다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수업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통역과 번역 전공생들이 함께 수강하여 초점이 분산되는 한국어 숙달 과목이나, 한국어 능력이 미흡한 소위 해외파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어학당 형태의 수업만으로는 통역 시 발생하는 한국어의 제반 문제들을 다루지 못한다는 한계점 인식에 따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고에서는 첫째, 통번역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주제로 한 선행 연구를 분석 및 비판하고,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의 맥락에서 예비통역사에 초점을 둔 한국어 교육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수업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필자가 두 학기 동안 담당했던 석사 1학년 통역 전공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의 운영 경험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통역 능력 증진과 긴밀한 연계성을 갖는 한국어 수업의 교수법 사례를 공유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for enhancing student interpreters' A language, Korean. The majority of graduate school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Korea have Korean language enhancement subjects as part of their curriculum. Yet more often than not, the focus is on training students whose B language is Korean or those who major in both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alling for a pedagogy that focuses on enhancing Korean specifically for interpretation majors, the syllabus presen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four teaching principles. First, in-class learning activities should focus on intralingual transfer exercises rather than practicing Korean separately since interpreting is an act of linguistic transfer. Second, given the everyday task of an interpreter, the language transfer activities should combine both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according to number of cases as input and output languages. Third, Korean needs to be dealt with not only as the output but also the input language. To this end, text comprehension and analysis skills are to be taught to help students better their interpreting skills for cases when they are interpreting from Korean into a foreign language. Fourth, the class is to be taught by a professional interpreter and the final weeks of class need to include interlingual transfer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apply what they learned thusfar in actual interpr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