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우리말의 대표적인 서술형 동사토 ‘-ㄴ다’, ‘-ㅆ다’형이, 근대 이전의 글말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20세기 초 이후 사용되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른 과정에 대해, 근대적 언어 인식에 따른 입말의 글말화 과정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변화에는 20세기 초를 전후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근대’적 인식과 신문, 소설 등 새로운 글쓰기 형태의 시도 등이 작용했음을 전제로, 먼저 이 연구에서는 당시의 입말로 해석할 수 있는 자료를 통해 ‘-ㄴ다’, ‘-ㅆ다’형이 입말과 관련된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전 시대부터 사용되던 ‘-(이/니/더)라’와의 비교를 통해, ‘-(ㄴ/ㅆ)다’가 실현된 문장은 ‘-(이/니/더)라’가 실현된 문장에 비해서 말할이(혹은 필자)의 개입이 적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사실을 전달하는 효과가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ㄴ다’, ‘-ㅆ다’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김동인과 같은 당시 소설가들의 근대적 인식과 관련됨을 고찰하였다. 특히 김동인은 이른바 ‘구어체’를 엄격하게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는데, 그러한 그의 인식에는 일본어의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언어에 반영된 시대의 인식을 확인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has been studied that '-nda'(-ㄴ다) and '-sda'(-ㅆ다) have been used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mid 20th century in the written language. These changes included modern perceptions and attempts to new forms of writing such as newspapers and novel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data that can be interpreted as the spoken language of the time. And I examined the data of '-nda'(-ㄴ다) and '-sda'(-ㅆ다) in various genres such as newspapers and novels. I also considered the modern perception reflected in the '-nda'(-ㄴ다) and '-sda'(-ㅆ다). Novelists such as Kim Dong-in actively introduced ‘-ssda'(-ㅆ다) and '-nda'(-ㄴ다), and this was related to modern perception. In particular, Kim Dong-in sought to realize the so-called 'spoken language' strictly. Through these studies, I expect to see the recognition of the time reflected in the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