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니체의 『비극의 탄생』에 등장하는 “자연의 모방”이란 표현의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니체는 그 표현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이라고 말하는데, 사실 정확히 일치하는 표현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서 보이지 않는다. 유사한 표현이 『시학』이 아니라, 뜻밖에도 『자연학』에서 등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자연학』에서 기예(技藝)의 두 측면을 말하는데, 하나는 자연이 완성하지 못한것을 완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니체가말하는 “모방”은 기예의 두 번째 측면이다. 이제 니체가 아리스토텔레스를 빌어말하는 “자연”을 이해하기 위해서 블루멘베르크의 「“자연의 모방”. 창조적 인간이란 이념의 경위에 관하여」를 참고한다. 블루멘베르크는 자연의 두 측면, 즉생산하는 원칙(능산적 자연)과 생산된 형태(소산적 자연)를 구분한다. 니체가말하는 자연은 첫 번째 측면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비극 합창단은 사티로스라는 자연의 생산된 형태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사티로스를 낳는 자연의 디오니소스적 충동을 모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니체가 모방가라고 부르는예술가는 자연의 충동들이 직접적으로 충족되는 것을 예술적으로 모방하는 자이다.


Der vorliegende Beitrag zielt darauf ab, den Ausdruck “Nachahmung der Natur” in der Schrift Die Geburt der Tragödie zu erläutern. Diesen Ausdruck spricht Nietzsche Aristoteles zwar zu. Der Ausdruck findet aber nicht bei Aristoteles. Eine ähnliche Formulierung kommt in der Schrift Physik vor. Dort sagt Aristoteles, dass die Kunst die Natur einerseits vollbringt (perfectio), andererseits nachahmt (imitatio). Was Nietzsche mit dem Ausdruck meint, ist wohl die zweite Seite der Kunst. Um nun die Natur bei Nietzhsche zu verstehen, beruft sich der vorliegende Beitrag auf Blumenbergs Schrift “Nachahmung der Natur”. Zur Vorgeschichte des schöpferischen Menschen. Blumenberg macht einen Unterschied zwischen dem produzierenden Prinzip (natura naturans) und der produzierten Gestalt (natura naturata). Dem ersten entspricht Nietzsches Begriff der Natur, denn der Chor der Tragödie ist ja nicht nur die Nachahmung der Gestalt des Satyros, sondern vielmehr die des dionysischen Triebes. Der Künstler, den Nietzsche den Nachahmer nennt, ahmt die unvermittelte Befriedigung des Naturtriebes künstlerisch n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