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아동문학은 활자미디어뿐만 아니라 청각미디어, 공연예술 등을 넘나들면서 향유되었다. 기존의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청각예술에서 시각예술로의 전환이라는 근대의 문화적 가설은 아동문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아동문학에서는 오히려 다양한 근대 미디어의 테크놀로지가 긴밀한 ‘상호 공존의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역사는 강연의 레퍼토리이자 신문이나 잡지 등의 근대적 미디어에 의해서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문화적 콘텐츠였다. 본고는 근대 미디어의 콘텐츠로서 1930년대 소년야담에 주목하였다. 동양의 가장 주요한 서사전통인 역사는 아동문학 시스템으로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다. 물론 역사와 아동문학이 교차하는 현상은 1930년대만의 새로운 현상은 아니었다. 하지만 1930년대는 조선에서 대중문화가 정착, 확산되는 시기였다. 다양한 공연문화와 함께 라디오라는 새로운 청각 미디어가 확산되었다. 당대의 소년야담은 근대적인 미디어 환경 내에서 파생된 장르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야담과 차별화된다. 근대의 소년야담은 공연, 신문과 잡지 그리고 라디오라는 입체적인 미디어 환경에서 아동에게 향유되는 문화콘텐츠였다. 소년야담은 역사와 차별화된 허구적이고 재미있는 서사로 아동문학 시스템에 자리매김하였다. 이를 통해서 민족의 역사라는 거대서사를 아동과 일반대중에게 문화적으로 각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했다. 본고의 이러한 논의는 그간 아동문학사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던 소년야담의 위상을 재평가하고 근대적인 미디어와의 관련 양상 속에서 아동문학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동문학은 문자독해력이 낮은 아동을 독자로 삼는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아동서사에 대한 이해는 문자 중심의 선형적인 서사 분석이 중심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고의 논의는 문자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디어의 콘텐츠로서의 소년야담의 위상을 새롭게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동시에 미디어라는 기술의 물질성에 일방적으로 제약당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향유하는 당대의 수용자에 의해서 새로운 의미가 첨가될 수 있다는 점 역시 강조하고자 했다. 예컨대 동화와 라디오가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 문화로 자리매김했던 서구와 일본과 달리, 조선에서는 동화와 첨단 미디어가 교섭되어 실행될 때 하위 계층을 위한 문화적 기획이라는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처럼 본고는 미디어의 콘텐츠로서 소년야담의 역동적 위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at children's literature has been formed by crossing print media, auditory media, and performance art. The existing hypothesis about changes from oral culture to literate culture and from auditory art to visual art should be critically reviewed in the aspect of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many cases showing that diverse senses form close 'mutually coexistent relations' with modern media technology. For example, as a repertoire of lectures, history was contents crossing the boarder of nonfiction and fiction through the modern media like newspaper or magazine. Sonyeonyadam in the 1930s focused by this paper fully shows the concept of children's story as contents of modern media. Histor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pic tradition of the East was widely accepted as a system of children's literature. Like this, the cross-over between history and children's literature was not a new phenomenon only in the 1930s. However, in the 1930s, the pop culture started settling down and spreading in the Joseon Dynasty. As Sonyeonyadam of the time was originated from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it is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stories. Sonyeonyadam was such cultural contents enjoyed through the solid media environments like performance, newspaper, magazine, and radio. Sonyeonyadam was settled down in the system of children's literature owing to its fictional and interesting narrations differentiated from history. Through this, it performed its roles in culturally imprinting the master narrative as the history of people in the general public. Such discussion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establish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status of Sonyeonyadam that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and also to examin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aspect related to modern media. Children's literature starts from a premise of children with low literacy as readers. Nevertheles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children's narratives mainly focused on linear narrative analysis focusing on letters. The discussions of this paper aimed to newly recognize the status of Sonyeonyadam as contents of diverse media, after getting out of research focusing on letters. At the same time, it aimed to emphasize that new meanings could be added by consumers of the time, instead of being unilaterally controlled by the materiality of media technology. For example, it emphasized that the execution of children's story and high-tech media was culturally planned for the lower class in the Joseon Dynasty, contrary to the West or Japan in which children's story and radio were settled down as a culture of middle class.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dynamic status of Sonyeonyadam as media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