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게임 조절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게임 조절 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기본심리욕구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압력이라는 자율적 동기를 방해하는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기본심리욕구가 잘 충족되어 있는 청소년들은 사회적 압력을 내재화하여 자율적으로 게임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패널을 대상으로 3개월 간격의 3시점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시점의 사회적 압력이 3시점의 게임조절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1시점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정도가 조절할 것이라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압력과 외적동기와의 관계에서 유능성의 조절효과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능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능성이 높은 집단에서 부모압력이 외적동기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선행연구와 임상적 개입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pressure influences the motivation for game regulations and how basic psychological needs regulates the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our hypothesis that when social pressure acts as an intervening factor, adolescents who satisfy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will have a high motivation for internalizing social pressure and regulating games autonomousl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ree viewpoints using a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The prediction that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viewpoint 1) can moderate the influence of social pressure (viewpoint 2) on the motivation for game regulations (viewpoint 3) was examin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t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sure and external motivation. The group with high competence had a larger effect of parental pressure on external motivation than the group with low competenc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clinical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