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opening two chapters of the 4th-century CE Kāmasūtra of Vātsyāyana feature a discussion about the origin of śāstra (“scripture”) as it relates to the three spheres of human activity, namely Dharma (Religion), Artha (Achievement) and Kāma (Pleasure). This essay consists of a brief analysis of Kāmasūtra 1.1 and 1.2, with the aim of clarifying the way in which the text carefully asserts its own divine (apauruṣeya) origins as a means of establishing a religious sanction for a treatise on erotics, even as it affirms its human (pauruṣeya) provenance and the authorship of Vātsyāyana. In insisting upon the human, and thus necessarily fallible, aspect of śāstra, Vātsyāyana nevertheless implicitly claims for himself the authority to recover the original meaning śāstra, and adjudicate its ambiguities. This distinction between the divine origins and human provenance of śāstra is thus resolved in the figure of the master (ācārya), and in the related concept of “mastery” (pratipatti).


4세기경 바츠야야나(Vātsyāyana)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카마수트라(Kāmasūtra)』의 첫 장과 두 번째 장은 삶의 세 영역인 다르마(Dharma, ‘종교’)와 아르타(Artha, ‘성취’), 카마(Kāma, ‘희열’)에 입각하여 샤스트라(śāstra, ‘경전’)의 기원을 논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카마수트라』의 첫 두 구절을 분석하여, 바츠야야나가 관능(erotics)을 주제로 하는 경전을 서술하면서 그에 대해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취한 방식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는 바츠야야나라는 저자의 존재와 이에 따른 ‘인간적’(pauruṣeya) 기원에도 불구하고, 경전 자체의 ‘신적’(apauruseya, 神的) 기원을 주장하고 있다. 경전의 인간적인 출처(저자)와 그로 인한 불가피한 오류 가능성을 주장함으로써 바츠야야나는 오히려 본인에게 경전의 원래 의미를 복원하고 모호한 입장들을 정리할 수 있는 권위를 부여한다. 양분되어 있는 경전의 신적 기원과 인간적인 출처의 문제는 결국 스승(ācārya)이라는 존재와 스승의 정통함(pratipatti)이라는 개념을 통해 해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