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에 근거하여, 이슈 정당성이라는 ‘가치’를 하위 수준 해석을 일으키는 실용적 정당성과 상위 수준 해석을 일으키는 도덕적 정당성으로 구분하고 해당 가치별로 공중의 행동 의도에 대한 심리적 거리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도덕적 정당성과 같은 상위 수준의 가치를 근거로 설득할 때는 심리적 거리를 멀게, 실용적 정당성과 같은 하위 수준의 가치를 근거로 설득할 때는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제시할 때 설득 효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적극적 안락사 찬성과 반대, 두 조건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이슈 관리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는데, 기존 정책이나 이슈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는 도덕적 정당성과 같은 상위 수준의 가치와 먼 심리적 거리감을 결합시키는 전략이, 기존 정책이나 이슈 상황을 그대로 유지 및 강화시키기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는 실용적 정당성과 같은 하위 수준의 가치와 가까운 심리적 거리감을 결합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at building effective issues management message strategies by examining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ssue legitimacy type, tempor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to exist between three variables on the intention for opinion expression and participation for or against euthanasia issue. The message framed by practical legitimacy was more effective on eliciting public supports for/against euthanasia when framed by near temporal distance and near social distance than framed by remote temporal distance and remote social distance. On the other hand, the message framed by moral legitimacy was more effective on promoting public supports for/against euthanasia when framed by remote temporal distance and remote social distance than framed by near temporal and near social di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