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북한 평양지역 관광자원의 변화를 고찰하고 그 변화 배경을북한 사회 전반의 변화와 연계하여 분석하고 있다. 우선 일반적인 관광자원 유형과 북한 학계의 관광자원 유형을 참고하여, 본 논문에 적용하고자하는 관광자원 유형을 설정하였다. 자연 관광자원, 문화 관광자원, 체제선전 관광자원, 사회시스템 관광자원, 예술 및 기타 사회관광자원, 쇼핑및 식도락 관광자원, 기타 산업관광자원, 위락 관광자원으로 구분한 뒤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평양 관광자원을 위 유형에따라 분류하여 각 시기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평양지역 관광자원은 기본적으로 체제선전 관광자원이 어느 시기에서나 핵심적인 관광자원으로 활용되었으며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북한이 내세우는 평양지역 관광자원은 고정불변은 아니었다. 점차적으로 쇼핑 및 식도락 관광자원과 위락 관광자원의 활용도가 증가했으며 사회시스템 관광자원 또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특히 2010년대에는이러한 변화가 눈에 띄게 확연히 증가했는데 그러한 변화의 배경으로는무엇보다도 김정은 체제 등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체제 정당성과당위성을 보여주어 권력의 안정화를 도모해야 하는 ‘젊은 지도자’ 김정은은 자신만의 미래 비전을 보여주기 위해 애민정치, 친서민적 이미지 구축을 시도했고 그 일환으로 위락관광자원과 쇼핑 및 식도락 관광자원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섰다. 또한 이러한 인프라를 외래관광객 유치에 활용함으로써 ‘평양 시내를 돌아다니는’ 외국인은 다시 김정은 체제 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북한과 같은 통제사회에서 외래관광객 유치는 양날의 칼일 수 있지만 김정은 체제에서는 이러한 상황은 다소 옅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쇼핑 및 식도락 관광자원과 위락 관광자원은 같은 관광자원 중에서도 더 많은 외화수입 창출이 가능하기에 다른 관광자원보다 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흥계층의 등장으로 이들을,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받아 안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관광자원이 적극 구축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 관광자원의 변화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보이는 것일 수 있지만 단순히 관광차원에서만 의미있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와 같이 북한 사회의 변화를 드러내 보여줄 수 있는 훌륭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changes in tourism resources in the Pyeongyang region of North Korea and to analyze the ground of the changes in connection with the transition of the North Korean society. First, the categories of tourism resources are being identified which could indicate changes of it. Tourism resources are being classified into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resources with propaganda system, society system, art and other social resources, shopping and epicurism resources, industrial and recreational resources. Changes in each decade starting from 80s to 2010s are also being studie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tourism resources with propaganda system has been used as core regardless of time period taking up the greatest portion of all other resources. However, the North Korea gradually started to make more use of shopping and epicurism resources and recreational ones as well as the social system resources. In 2010, changes became more visible which is assumingly resulted by Kim Jeong Eun’s regime. In need of legitimacy of the power, the regime has been trying to show its future vision through politics for people and common people friendly images. In line with it, the regime initiated the building of the infrastructures of recreational and shopping and epicurism tourism resources which was aimed to lure foreign tourists to Pyeongyang. Foreign tourists walking in Pyeongyang could surely make contributions to the regime stability. In a closed society like the North Korea, attracting of foreign tourists could be a double wedged weapon. However, disadvantages seem to have been minor in the Kim’s regime. Foreign currency brought up by shopping, epicurism and recreational resources could be one the of reasons why they are being put more emphasis on. Changes in tourism resources could be revealed through inspective observation and the study of it no longer has significance just in the field of tourism resources but in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he country’s changes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