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6세기 조선유학에서 ‘공중누각’은 ‘도학적 기상’을 보여주는 낱말이었다. 도학적 기상이란 보이지 않는 유학의 도체(道體)가 행위를 통해서 표출될 때, 그 행위자의 인품과 학식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지표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공중누각에 투영된 무형의 기상으로 인해 이이뿐만 아니라 조선의 많은 유학자들은 이 말을 사용하였고, 그 기원은 북송오자의 한 사람인 소옹에게 소급된다. 소옹을 지칭하였던 공중누각(空中樓閣)이란 낱말은 ‘토대 없이 허공에 떠 있는 누각’이라는 뜻이다. 우리는 이 말을 통해서 두 가지 경우의 수를 만나게 된다. 첫째, 공중누각은 이 말의 문자적 의미처럼 ‘토대 없이 허공에 떠 있는 누각’이라는 점에서, ‘근거 없는 주장’을 의미한다. 둘째, 공중누각은 공중이라는 높은 곳에 위치하여 사방을 바라볼 수 있는 장소를 뜻하고, 그런 점에서 ‘두루 막힘이 없는 관점’을 의미한다. 공중누각에는 ‘근거 없는 주장’과 ‘두루 막힘이 없는 관점’이라는 상반된 의미가 들어 있다. 조선유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서 신유학의 지성사적 전개과정을 함축하고 있는 공중누각이라는 이 낱말을 이이는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공중누각의 수용은 곧 소옹의 철학과 사유, 삶의 태도와 지향에 대한 공감을 뜻한다. 그런데 율곡후학들은 공중누각과 그와 연관된 기상을 표현하는 낱말들에 대해서 오히려 반발하고 배척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이의 후학들은 공중누각과 연관된 신루, 신기루와 같은 이미지의 기상을 이이의 면모에서 탈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용과 거부의 이중성은 어째서 나타났을까? 공중누각을 수용하는 이이의 사유에서 제안될 수 있는 논점은 무엇일까? 이 글은 이 같은 점에 주목하였다. 수용과 배척의 문턱에는 조선유학의 상산학(양명학)이나 선학과 같은 이단, 비정통에 대한 경계가 자리하고 있었다.


Yulgok showed a special interest in the term “a castle in the air(Kongjungnugak)”. The term has a characteristic of the spirit of Dao even though it has been used by us without the meaning. The spirit of Dao is an indicator to show one’s personality and knowledge when he puts the substance of Dao into action. Therefore the term “a castle in the air” was used by a number of Neo-Confucian scholars including Yulgok and is traced back to ShaoYong, one of Northern Song Neo-Confucianists. The term means “A castle in the air without foundation.” It has two connotations. First, the term refers to a unjustified argument. Secondly, it means an idea without any weakness. A castle should be generally located in the earth, but it would not have any obstacle if it is located in the air. Isn’t there a special reason why the term has two seemingly contradictory meanings at the same time? Where do two meanings come from?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term, which has a Neo-Confucian intellectual significance, was accepted by Yulgok, but was rejected by his followers. Where do the acceptance and rejection of the term come from? What is a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ideas of Yulgok, who accepted the term? I wanted to focus on the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