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화 및 보행 개선에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과 일반 보행 훈련의 효과가 다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진단 후 6개월 이상의 뇌졸중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선정 하여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한 연구군 13명, 일반 보행 훈련을 이용한 대조군 14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군에는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적용 하였고, 대조군에는 일반 보행 훈련을 각각 주 5회, 1일 30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훈련 후 평가는 하지 근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표면근전도(Telemyo 2400 G2 Telemetry EMG system, Noraxon, U.S.A. 2007)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하지 근 활성도 차이를 보았고, 동적보행 지수(DGI), 일어나 걸어가기(TUG), 10m 보행 검사, 8자 곡선 보행 검사(F8WT)를 통해 집단 간에 보행 개선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보행 훈련 후 하지 근 활성도 검사에서 향상되었고(p<.05), 두 집단 간 훈련 전, 후 변화량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한 연구군과 일반 보행 훈련을 한 대조군 모두 보행 훈련 후 보행 능력 검사에서는 동적 보행 지수, 일어나 걸어가기, 10m 보행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8자 곡선 보행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없었다(p>.05). 두 집단 간 훈련 전, 후의 변화 차이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화 및 보행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ved path gait training and general gait training on th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gait ability for stroke patients. Method: Twenty-Seven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Experiment group(n=13) performed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Control group(n=14) performed the general gait training.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was performed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Control group also performed general straight time gait training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Surface EMG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s in lower limb muscle activity. The gaiting ability was assessed by Dynamic Gait Index(DGI), Time Up and Go Test(TUG), 10m walking test, Figure of 8 walk Test(F8WT). Results: Fir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roved in the leg muscle activity test after the gait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e-and post-training change comparing with control groups(p<.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Dynamic Gait Index, Time Up and Go Test, 10m walking test in the gait ability test after the gait training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Figure of 8 walk Test(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was effective for the activation of the leg muscle and improvement of the gaiting of the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