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and the meanings of young children’s bodily play and bodily interactions in their peer culture. Based on the 8 months of ethnographic study,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s of 4-year-old children’s free play time and teacher interviews, this study articulates the values in young children’s bodily play and bodily interactions in their social lives, which were very enjoyable and successfully modes of language that naturally elicit peers’ laughter and resolve any possible conflicts during play. Discussing the emphasis in the dominant discourses of social competence, which is frequently put on children’s verbal expressions and interactions, this study depicts the existing conflictive value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regarding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pplying Bakhtin’s notions of monologic language and carnivalosque, this study call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heightened appreciation of young children’s bodily play, which is deep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유아들의 또래놀이와 문화 안에서 ‘몸(신체)적인’놀이와 ‘몸(신체)적인 상호작용’이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갖는지를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유아사회성과 관련하여 간과되어 왔던 교육학적, 본질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8개월간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사회성이 낮다고 여겨지는 만 4세 남아의 자유놀이시간을 집중적으로 참여 관찰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가 즐겨하는 ‘몸’적인 놀이와 ‘몸’적인 상호작용이 또래놀이와 문화 안에서 매우 자연스럽고, 성공적이며, 즐거움을 유발하는 사회적 소통방법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언어로 마음을 표현하기, 언어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언어로 상호작용하기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교육현장에 유아들의 ‘몸’적인 놀이와 상호작용을 비롯해 또래와의 놀이와 관계맺음의 다양한 방식들이 가치충돌 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바흐친(1981, 1984)의 단일어(unitary language)와 이어성(Heterolossia)의 개념을 통해 교육현장 내의 이러한 가치들의 동적인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독백적 언어(monologic language)와 카니발로스크(carnivalosque)의 개념으로부터 유아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