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화엄경』 「십지품」에 담긴 문학성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해 본 글이다. 여기서의 주 텍스트는 불교의 대승경전인 『화엄경』 「십지품」이다. 이 품에는 오늘날 우리 현대인들이 가져야 할 풍부한 인성교육의 교설들이 함의되어 있다. 특히 이품에서 주목되는 인성은 ‘마음’으로 표현되고 있다. 다양한 마음의 형태들 중에서, ‘보살은 열 가지 바른 마음을 일으킨다.’고 하는 가르침은 우리가 지녀야 할 마음가짐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그 열 가지 마음이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던 우리의 아름다운 인성[불성]이기 때문이다. 열 가지란, 첫째는 부드러운 마음, 둘째는 갖추어진 마음, 셋째는 인내하는 마음, 넷째는 자율의 마음, 다섯째는 고요한 마음, 여섯째는 진실한 마음, 일곱째는 한결같은 마음, 여덟째는 탐하지 않는 마음, 아홉째는 뛰어난 마음, 열째는 크나큰 마음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에서 『화엄경』 「십지품」은 아직까지 신앙적․종교적인 테두리 안에서 거의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 인간의 정신을 치유해 줄 수 있는 이렇게 수승하고 유익한 가르침을 이제 세상에서 밖으로 드러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인성의 부재로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들이 십지수행으로, 자신의 내면에 잠재된 광명을 제대로 본다면, 본인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화엄경』의 중심사상에 들어가는 「십지품」의 십지수행이 어떤 문학성을 함의하고 있으며, 이 함의된 문학성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점점 실종되어가고 있는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것을 통하여 오늘날 사회전반에서 만연하고 있는 이기주의로부터 벗어나 참다운 인성을 회복하여 21세기 인성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This thesis is the article to analyze the ‘The Influence on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Sipjipum literature of Avatamska’. This mind set contains the doctrine of rich character education for contemporary people to have today. In particular, the personality that attracted attention for this mind set is expressed as ‘mind’. From the types of diverse minds, a phrase of teaching that ‘Buddha causes ten virtuous minds’ would be considered as the mindset that we must have.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ose 10 minds would be the beautiful personality [Buddhatva] that we have from the origin. The ten minds are listed, first, tender mind, second, ready-made mind, third, enduring mind, fourth, self-control mind, fifth, placid mind, sixth, truthful mind, seventh, consistent mind, eighth, integral mind, ninth, outstanding mind, and tenth, enormous mind. However, regrettably, under the reality, 『Buddha Avatasakasūtra(華嚴經)』 「Sipjipum (Daśabhūmika-varga)」 is still unable to break away from the religious and faithful boundaries to this point. Therefore, this researcher contemplates to display the useful and beneficial teachings to heal the mind of humans to the worl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people who have hard time with the lack of personality may heal their mind if they could appropriately see the enlightenment present within them with Sipjisuhaeng. Therefore, under this article, it has shown what literature would be contained in Sipjisuhaeng of 「Sipjipum (Daśabhūmika-varga)」 found in the central ideology of 『Buddha avatasakasūtra』, and through the contained literature, the influence on the character education that is getting to be lost more and more in our society today has been analyzed. Furthermore, through this endeavor, it is attempted to clarify that the true personality may be recovered by breaking away from the egoism that is prevalent throughout the society today to be the alternative to the 21st century charact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