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교 진로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초등학교 진로교육 관련 논문 10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와 백분율에 의한 기술적 통계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학술지 게재 논문 수는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하다가, 2015년부터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학술지별로 보면 『실과교육연구』에 편중되어 게재되어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총 8개 영역 중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28.7%)과 진로발달 행동(26.9%) 영역이 가장 많았고, 검사도구의 개발 및 평가, 진로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은 대부분 학생에 대한 연구(85.0%)였고, 교사와 학부모 대상 연구는매우 부족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66.4%)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그 다음으로실천연구, 질적 연구, 이론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술지 논문의 초록에 제시된 주제어는‘진로교육’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이어서 진로성숙, 진로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 진로발달, 진로인식, 초등교육, 영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의 주제어 중 연결 중심성이 높은 주제어 39개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제어 간의 관련성과연구주제의 최근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진로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the last 10 years and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108 research papers on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from 2007 to 2016 were reviewed.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year increased from 2010, then declined from 2015,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journals. Second,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28.7%) and career development behavior (26.9%)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s. Third,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85.0%), and teachers and parents were very poorly studied. Fourth, the research method trend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wa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66.4%), followed by practic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theoretical research. Fifth, career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presented in the abstract of the paper, followed by career maturity, career education progr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recognition, elementary education and gifted.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texts extracted from 39 key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ric among the research keywords, the relevance of the keywords and recent trend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