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조선 후기 ‘젠더(gender)’ 규범에 비추어 <창선감의록>의 남녀 인물 형상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후기 젠더 규범은 성리학의 교조화로 인해 성 역할을 한층 더 고정된 것으로 보았으며, 남성은 ‘군자형’, 여성은 ‘요조숙녀형’ 인물을 이상적으로 보았다. 그런데 이에 비추어 <창선감의록>에서 이상적으로 평가되는 인물들을 살펴보면 ‘군자’와 ‘요조숙녀’에 완전히 부합하지 않는 행위를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군자’와 ‘요조숙녀’를 지향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창선감의록>과 같은 소설은 규범이 규정하는 형상을 고정된 형태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서사 논리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굴절함으로써 규범 이행의 가능 범위를 넓혔다. 이와 같이 젠더 규범에 비추어 소설을 이해할 때 학습자는 규범성과 흥미가 공존하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고, 과거와 현재의 젠더관이 연속되고 불연속되는 측면에 대해 주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le and female figures of Changseongamuirok through “gender” nor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m. The gender norm of the late Joseon dynasty seemed more stable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Thus, the ideal type of men is “Gunja”, and that of women is “Yojosooknyeo”. In Changseongamuirok, however, Hwa Jin and Yoon Yeo-ok are considered as persons aiming at “Gunja”, and Yoon Ok-hwa, Nam Chae-bong and Jin Chae-kyung aiming at “Yojosooknyeo”, even if they don’t comply with. Novels like Changseongamuirok don’t reproduce the fixed form prescribed by the norm, but transform within the scope consistent with the logic of narrative, thereby widening the scope of norms fulfillment. In this way, when the novel is understood through the gender norms, learners can grasp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of norm and interest in the novel, and understand subjectively the continuing and discontinuing aspects of the past and present gender n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