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후 평가적 의미를 갖는 연구로,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5.18민주광장의 구성요소와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장소정체성 관련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5.18민주광장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공간 구성요소로 편안함과 이미지, 안전성과 접근성요소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세부평가항목으로는 편안함과 이미지부분에서 장소의 청결성, 공간규모의 적정성 그리고 노약자/장애인을 위한 Barrier Free 디자인이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접근성과 연결성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세부평가요소로는 광장주변의 기능들(상점, 레스토랑, 카페, 기타)과의 연계성, 보행의 연결성(연속성), 장소의 가독 및 인지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after evaluation. A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of 5․18 democratic plaza and place identity related component factors with 5․18 democratic plaza in the ACC. As a result,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component factors of public space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5․18 democratic plaza factors in the 5․18 democratic plaza was comfort & image factor, accessibility & connectivity factor. And the main Detailed Evaluation items affecting comfort & image factor was cleanliness, the open space size, and universal design. The main Detailed Evaluation items affecting accessibility & connectivity factor was linkage of adjacent area function, ambulatory accessibility, Identification/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