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Employment issues after graduation have become a global issue with jobs appearing scarcer on the world stage. The Tourism and Hospitality (T&H) industry, being a service industry, is one of the areas that is targeted as a growth opportunity area still b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current research with 300 ROK Freshmen tourism students in colleges (N=150) and universities (N=150) was conducted to study their perception on factors they value in their future career, and whether they perceived these same values within the T&H industry as a career. Each group was individually analyzed using t-tests; and then the college and university groups were analyzed using a t-test to see i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Eleven factors showed significance for the university group and eight factors showed significance for the college group. Of the 20 factors analyzed, only the factor “a job that is respect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to future employment between the two groups; two facto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tent T&H offered those factors in their future employment, namely: “a job that is respected”; “reasonable workload.” The above results are considered to previous studies done in Europe, Australia and America to help better understand the ROK tourism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within the larger geo-political framework.


대학생의 졸업 이후 취업은 전 세계적인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 관광/호스피탈리는 서비스 산업으로 한국을 포함한 많은 세계적 국가에서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으로 많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라 믿어지는 산업이다. 본 연구는 많은 관광전공자들의 졸업 후 취업이 관광/호스피탈리티 산업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에서 관광관련 전공을 시작하는 1학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미래의 직업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가치와 그 가치가 관광/호스피탈리티 산업 직업에서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신입생들이 인식을 알아보고, 2년제와 4년제 학생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관광관련 전공 2년제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150부, 4년제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150부의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대체적으로 신입생이 미래의 직업 선택 시 중요하게 인식하는 가치들에 대해 관광/호스피탈리티 산업의 직업들은 그 가치에 대한 제공수준이 유의 수준에서 낮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요인들은 2년제 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