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생활재활교사의 직무 수행경험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생활재활교사들의 직무수행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적장애인거주시설 운영의 개선점을 모색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소 1년 이상 근무한 생활재활교사 7명이 연구 참여자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생활재활교사들의 직무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의미를 진솔하게 나타내주고 있으며, 연구진행시 연구 참여자들 의 솔직한 이야기를 통해 심층면담이 진행되면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 이 기술 한 자료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진술 중 의미가 중복된 진술을 제외한 60개의 주제, 15개 주제 모음, 4개의 범주로 구성하였다. 4개의 범주로는 생활재활교사로의 시작, 생활재활교사로 적응, 생활 재활교사의 아픔, 성장과 바람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적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전문성 확보와 나아가 지적장애인거주시설 운영 개선방안 도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experience of the life rehabilitation teacher who is working in the residence with mental retard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rvention plan that can enhance the capacity of the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nd seek improvement points of residence institution of mental retar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the job performance of the welfare facility workers. Through in -depth interviews through the candid 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during the research, meaningful results could be obtained. There are 7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worked in the institute for more than a year. Four sections are categorized made of 15 sub-categories constituted by 60 subjects collected by significant worker's answers. Four categories are the beginning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 adaptation as a life rehabilitation teacher, the pain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 the growth and the w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life rehabilitation teacher.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