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노년층은 이야기를 산출하면서 주제로부터 벗어나는 이야기를 하거나 문장구조를 단순화하기도 하며 문법 형태소의 오류를 보일 수 있다. 이야기를 말하는 능력과 글로 쓰는 능력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글을 쓰는 능력은 복잡한 인지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노화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정상 노년층 32명과 청년층 32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과제는 전래동화(‘흥 부놀부’)에 대한 그림들을 보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구성하여 써보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 시에는 이야 기 구성적 측면과 이야기 구문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노년층은 청 년층에 비하여 이야기 구성적으로는 이야기문법과 완전한 에피소드의 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주제 에서 벗어난 문장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구문구조적으로는 복문의 사용빈도는 청년층과 차이가 없었 으나 관형절과 부사절 내포문의 사용이 저하되고 부적절한 결속표지를 많이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노년층이 이야기 글쓰기를 할 때 주제의 유지가 저하되고 수식적으로 꾸며주는 표현의 사용이 부 족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글의 응집성이 저하되지만 쓰기 활동의 시각적 피드백에 도움을 받을 수 있 게 되므로 긴 복문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The elderly often produce irrelevant speech and get off-topic more easily than the young; the former also has difficulty generating fewer syntactic structures and makes errors of grammatical morphemes. In particular, the elderly might have more difficulty writing since it requires more complex cognitive processes than storytell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 young people and 32 older people. They were asked to write a short story of Korean fairy tale('Heungbu Nolbu'). The data was analyzed in narrative composition and syntactic structure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 composition aspects,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otal number of story grammar and episodes. In addition, the elderly produced more off topic statements. Second, in syntactic aspec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oducing complex sentences between two groups, the elderly group generated more inadequate cohesive devices and used fewer relative and adverbial clau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lderly have a tendency to perform tasks by producing more off-topic statements and shows decreasing coherence by using lower number of relative and adverbial clauses. However, this study also uncovers that the elderly were able to write more complex and longer sentences using visual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