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원용하여 초국적 노동이주과정에서 형성된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네트워크들과 이들로 구성된 다중적 결합체로서 아상블라주를 고찰하고자 한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바탕을 둔 초국적 노동이주 연구는 두 가지 핵심 사항에 대한 관심, 즉 초국적 노동이주과정에서 다른 인간 및비인간 행위자들을 만나 구성하게 되는 행위자-네트워크에 대한 관심, 그리고 이과정에서 형성·변화하는 다양한 유형의 위상학적 공간들(즉 지역적 공간, 네트워크 공간, 유동적 공간, 그리고 화염의 공간)에 대한 관심을 강조한다. 이러한 위상학적 공간성들을 가지는 행위자-네트워크들에 의해 만들어진 아상블라주의 개념은 초국적 노동이주 연구에서 존재론적, 분석적, 방법론적 유의성을 가진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초국적 노동이주과정에서 형성되는 세 가지 주요 아상블라주, 즉 일자리, 가정, 그리고 국가 아상블라주를 개념적으로 고찰하고,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Applying actor-network theory(ANT), this paper considers human and non-human actor-networks and their assemblages in multiple form which are emerged, maintained, and disintegrated in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It is argued that studies on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on the basis of ANT emphasize two central concerns, that is, the concern with actor-networks continuously produced and reproduced by human and material objects encountering in processes of transnational labour migration; and the concern with diverse types of typological spaces (that is, regional, network, fluid and fire space) which are also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repeatedly in these processes. The concept of assembles as multiple associations of heterogeneous actors and their networks with typological spaces provides a significant (ontologically, analytically, and methodologically) tool to grasp central aspects of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On the basis of this conceptual consideration,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 materials collected through deep interviews with foreign migrant workers living around Daegu in Korea, focusing on three major assemblages arranged and rearranged in processes of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that is, job, home, and state assemb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