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시빅해킹이라는 새로운 시민참여 현상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시민참여 유형연구의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며 열린정부, 정부3.0, 공공데이터 확산의 맥락에서 시빅해킹이 가지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2000년대 말 미국에서 시작된 시빅해킹은 시민과 정부 간의 진정한 협치를 통해 정부혁신, 공공서비스 개선, 투명성 확보, 시민권익 향상 등의 다양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시민참여 방식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한국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시빅해킹이 일어나고 있지만, 이 현상이 가지는 이론적 함의와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부재하다. 이 연구는 시빅해킹의 개념을 학문적으로 정의하고, 활동을 소개하며, 시민참여의 유형분류틀을 활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시빅해킹 활동을 분류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빅해킹 활동은 주로 소비자선택 및 직접참여 분야에서 웹/앱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새로운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나타남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시민참여활동이 정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감시자, 참여자를 넘어 새로운 정부서비스의 개발자로의 역할 확장을 이루어 내고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시빅해킹의 활성화가 시민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촉진함으로써 지방정부3.0의 활성화를 제고 할 수 있다는 정책개발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 foundational study of the civic hacking, a new type of online citizen participation. It aim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enlarging the current typology of online citizen participation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 of civic hacking as a policy alternative in the context of open government and Gov3.0. Civic hacking originated from the US in the late 2000s and has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as a new type of citizen participation that could promote government innovation, public service improvement, extended transparency, civic rights and interests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s and citizens. Several civic hacking groups were established recently in South Korea, but there is a lack of academic discussion about i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 This study thus defined the concept of civic hacking, introduced examples of civic hacking activities, provided a typology of those activitie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American civic hacking activities. We found the majority of civic hacking activities in the consumer choice and control area as in a form of creating new web/app applications to provide new administrative services. It shows that the role of the citizen in the online participation has expanded from the consumers, observers, participants to the developer and provider of a new government service. Moreover, i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Gov3.0 and local Gov3.0 by increasing the civic hacking and invigorating the utilization of the ope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