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과 미수교국 쿠바에는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한인 후손들 1,0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1905년도에 조선을 떠나 멕시코에 도착한 후 1921년 쿠바로 재이주한 한인들의 후손이다. 4년간 노동계약으로 조선을 떠났던 이들이 노동계약이 끝났지만 돌아갈 모국이 사려져 멕시코 전역과 쿠바로 디아스포라의 길을 떠나야 했다. 본 논문의 분석에서 활용하고 있는 쿠바한인에 대한 자료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발행된 대한인국민회 기관지‘신한민보’와 국가보훈처‘공훈전자자료실’자료들이다. 그리고 필자가 2016년 5월과 7월에 2차례에 걸쳐 쿠바를 방문하여 수집한 자료,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논문은 이스라엘 정치학자 가브리엘 쉐퍼(Gabrial Sheffer)의 모국 없는 디아스포라(Stateless-diaspora)의 관점에서 쿠바한인 1세대 디아스포라들의 독립운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가 없는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독립운동은 주로 만주와 상해, 연해주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논문은 미주의 쿠바한인들의 독립운동 자금 모금 운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쿠바로 이주한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독립자금을 모금한 한인 후손들의 거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쿠바는 한국과 미수교 상태이기 때문에 쿠바한인들은 한국의 재외동포정책으로부터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쿠바한인들은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매우 낮은 상태로 대부분 현지화 되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필자는 2016년 5월과 7월에 쿠바를 2회 방문했다. 주로 쿠바 아바나와 마탄자스, 카르데나스를 방문하여 100여명의 한인들을 만났다. 이 과정에서 한국정부로부터 쿠바한인 11세대 16명이 독립운동 자금 지원의 공로로 훈장 수여자로 발표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들 중 임천택 선생 후손에게만 서훈이 전달되었을 뿐 나머지 15명의 후손에게는 아직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쿠바한인 후손들을 찾고이들에게 서훈이 전달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are about 1,000 Cuban Korean descendants who supported the Korea independence movement. These are descendants of people who left Korea in 1905. After four years of labor contracts, the labor contracts were over, but there was no home country to return. they had to go out of the way to Mexico and Cuba for the diaspora. It is descendants of Korean immigrants who migrated from Mexico to Cuba in 1921. This paper approaches the Cuban Korean in terms of diaspora. It focuses on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first generation of Cuban diasporas from the standpoint of Gabriel Sheffer's stateless-diaspora.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Cuban Korean diaspora without the state have been mainly centered on Manchuria, Shanghai and the Maritime Provinces. This paper focuses on the campaig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s in Cuba. To understand this, we need to know about the history of the Cuban Korean diaspor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ce of Cuban Korean descendants who raised funds for Korea independence in Cuba. Since Cuba is a state of alienation from Korea, Cuban Koreans are in a blind spot from the Korean policy of overseas affairs. Cuban Koreans are living in Cuban society because they can not reveal their ethnicity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refore, they are mostly localized with very low identity as Koreans. For this study, the author visited Cuba twice in May and July 2016. Visiting Havana, Matanzas and Cardenas, the author met about 100 Cuban Koreans. In this process, the Korean government confirmed that 16 Cuban Korean received the honor as a contribution to the independence campaign fund for Korea. However, this was a unilateral announcement of the government, and it was noticed to the descendants of Lim Chon Taek, but only to the descendants of the remaining fifteens. This paper finds Cuban Korean descendants and seeks ways for the medals to be delivered. The data on the Cuban Koreans used here are the materials of Shinhan Min-Bo and the National Veterans Affairs Office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ssued by San Francisco in the US. I used materials and interviews I collected in May and July 2016 visiting Cuba tw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