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이종건의 무반벌족가계와 충주 지역 토지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이종건은 조선 제2대 국왕 정종의 15男 茂林君 善生의 12代 孫이다. 그의 가계는 전주 이씨 무림군파로 전통 武班家 중에서도 대표적인 武班閥族家門에 속한다. 조선후기 그의 가계는 지속적인 관직진출을 통하여 벌족화 하였으며, 무반 將臣들을 배출하여 장신 벌족으로서 성장하였다. 이종건은 무반으로서 거치는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는데, 특히 장신이 되어 登壇하였다. 역임한 관직을 보면, 주로 시위와 치안을 담당하였고, 대한제국기에는 고종의 측근에서 황제 호위를 담당하고 보필하였다. 그는 무반 명문가에서 성장하고 일찍부터 관직에 진출하여 오랫동안 관직에 있었다. 오랜 관직활동은 재산 형성에 주요한 배경이 되었는데, 당시 관직은 재산축적에 유력한 방법이었다. 당시 세도가들이 관직을 통해 많은 재산을 축적하였는데, 이종건 또한 관직에 있으면서 많은 재산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종건의 재산 가운데 대부분은 토지였다. 그의 경제기반이 되었던 토지에 대해, 토지소유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지역이 충주이다. 광무양안에 따르면, 이종건은 충주에 42결49부5속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는 충주 상위 지주 10위에 해당한다. 소유지는 5개 面에 걸쳐 있었는데, 모두 현재 음성군 지역에 해당한다. 그는 밭보다 논을 많이 소유하고 있었으며(4배정도), 비옥도 높은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었다. 그가 논이 많고 양질의 토지를 많이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고위직을 역임한 그의 권력이 주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토지는 133명의 작인에게 차경 되고 있었다. 작인들의 총경작지를 분석해 보면, 1결 이상 경작하는 사람이 34.6%였다. 50부를 기준으로 하면 56.4%에 이른다. 당시 생산의 안정성을 위해 토지소유와 차경지가 있는 작인을 선호하였는데, 이종건의 경우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소유지는 지리적으로 생산력이 발달한 곳에 많이 위치해 있었다. 즉 평야지대와 곡창지대에 분포해 있었다. 그리고 토지들이 맹동면을 중심으로 집중해 있었는데, 이는 부재지주인 이종건에게 유리한 것이었다. 즉 토지가 한 곳에 집중해 있어, 토지 관리가 수월했을 것이다. 충주의 대지주들 대부분이 이종건처럼 한 두 곳에 토지를 집중해서 소유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부재지주들이 타 지역에서 토지를 집적하고 관리하는 형태가 아닌가 생각된다. 당시 중앙 정계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이종건은 전국 여러 곳에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충주 지역 토지는 전국에 분포에 있던 토지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구체적인 토지소유의 실상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Lee Jonggeon’s military nobility genealogy and lands in Chungju area. Lee Jonggeon was the 12th descendent from the 15th son Murimgun Seonsaeng of Jeongjong, the 2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His genealogy belonged to a representative military nobility genealogy as the Murimgun party of‘Lee' from Jeonju among the traditional military nobility family. Lee Jonggeon, a military nobility, successively filled main posts, and especially debuted after becoming the Jangsin. His posts were generally involved with protest and security, and then guard and care for the king Gojong,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He had been grown in the family distinguished for military nobility and advanced to public posts at an early age and kept his posts for a long time. Such a long public servic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his property accumulation Most of his properties were lands. It is Chungju areas in which His ownership of them, a economic basis can be specifically verified. According to Gwangmuyangan, He owned 42 Gyeol 49 Bu 5 Sok of lands in Chungju. The scale of his lands ranked 10th among top landowners. His lands extended across five Myeon(面), all of which now belong to Eumseong-gun. He owned rice paddies more than (about four times) fields, and most of his lands were highly fertile, probably because of his power from high office. His lands were borrowed by 133 tenants. An analysis of their all arable lands shows that the ratio of tenants who cultivated more than one Gyeol was 34.6%, which amounted to 56.4% on the basis of 50 Bu. For the stability of productions, the tenants who had land ownership and arable lands were usually favored, and such a tendency is also found for Lee Jonggeon. The lands owned by Him were intensively located at places with high productivities: plains and grain belts. They were concentrated in Maengdongmyeon, which might be favored by Lee Jonggeon: they could be easily managed because they were aggregated in one place. Almost all large landowners in Chungju, like Lee Jonggeon intensively concentrated their lands at one or two areas, which may be thought as the method in which contemporary absent landowners accumulated and managed their lands at places away from home. At that time, Lee Jonggeon who had long served for politically central world owned lands throughout the country. Although the lands in Chungju areas were only some parts of all distributed across it, they show his specific land-own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