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혼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금융, 제조, 공공, 서비스 등 약 20여개 기업에 종사하는 기혼 남녀근로자이며, 2014년 1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약 5개월간 조사가 진행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 전이 중 긍정 전이에서는 일→가정, 가정→일이 모두 생활만족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 전이에서는 가정→일의 부정전이가 높아질수록 생활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가정 전이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인식의 조절효과는 일→가정의 긍정전이가 생활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일→가정 부정전이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친화제도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 of work-family spillov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e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sefulness of family-friendly benefit. This study carried out 269 married workers working in approximately twenty companies in the field of finance, manufacture, public service. This research examined general and valuable features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nd influences among variables.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in short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family-work positive spillover and family-work negative spillover affected life satisfaction. Second, usefulness of family-friendly benefit moderates in between the relation of work-family spillover and life satisfaction. In detail,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strengthened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negative spillover alleviated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