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식민지 대전에 관계된 시인인 아라이 토루와 후쿠나카 토모코에 대한 분석이다. 아라이 토루가 보여준 조선에서의 문학운동은 민중 교육으로서의 문학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그 민중 교육이 식민지 조선인들의 삶에 밀착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일정하게 저항적 면모를 갖춘 것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의 문학운동은 제국의 그물 안에서 펼쳐진 문학운동이기도 했다. 이것은 후쿠나카 토모코의 경우 더 선명하게 드러나는데, 그녀에게 식민지로서의 대전은 인식 범위를 넘어선 대상이었다. 일본적인 것의 유무가 후쿠나카 토모코에게는 중요했고, 그녀에게 대전은 식민지가 아니라 일본의 한 지역이었다. 그래서 대전의 조선인들에게는 원망이 있을 수 없었다. 조선이 식민지임을 아는 문인들에게는 조선인들의 원망이 눈에 띌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원시적 미개에 대한 두려움으로 혹은 비인간적 수준에 대한 경멸로 처리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붉은 산은 그 전치의 몇 가지 국면을 보여준다. 이 전치의 국면이 식민지에 대한 여러 인식을 드러내기 때문에 결국 중요한 것은 그 ‘식민지-붉은 산’에 대하는 주체의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인식은 단지 근대초극론의 인종주의와 결합된 ‘풍토’의 차이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우리는 본문의 여러 일본 문인들을 서로 비교해가면서 확인할 수 있다.


The literary movement of Arai Toru showed a certain resilience in that it was literature as education for the people and that the people's education was an attempt to come closer to the life of the colonized Koreans. At the same time, however, his literary movement was also a literary movement in the net of empires. This is clearer in the case of Tomoko Fukunaka, her colony Daejeon was not even caught on the cognition. The presence of Japanese things was important to Tomoko Fukunaka, and Daejeon was not a colony but a part of Japan. So the Koreans in Daejeon could not have a grudge. For the literary people who know that Joseon is a colony, the Koreans' resentment can not help but notice that it is treated with a fear of primitivism or a contempt of inhuman level. The red mountain(붉은 산) shows some aspects of its displacement. Since the phase of this displacement reveals various perceptions of the colonie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t is the location of the subject to the ‘colony-red mountain’. Colonial perception is not based only on the difference of ‘climate’ combined with the racism of ‘ultra modern theory’. We can confirm it by comparing the Japanese writers of the text with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