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세기본법 제48조 제1항에서 가산세 면제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정당한 사유”는 불확정 개념이기 때문에 그 해석‧적용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을 낳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당한 사유의 해석에 관한 기본적인 시각을 정립하는 작업과 판례나 유권해석상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거나 부정된 사안을 유형화해서 그 적용에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작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먼저, 정당한 사유의 해석에 관한 기본적인 시각에 관해 살펴본다. 가산세는 그 실질이 행정벌이므로, 가산세 부과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행정벌 부과를 위한 정당화 요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한편, 행정벌 부과에는 헌법상 책임주의에 따른 제한이 있고, 책임주의에 반하는 행정벌 부과는 그 자체로 위헌적 처분이 된다. 국세기본법상 가산세 면제요건으로 규정되어 있는 정당한 사유는 책임주의에 반하는 가산세 부과를 막기 위한 장치인바, 정당한 사유의 해석‧적용에 관한 핵심은 ‘어떻게 하면 책임주의에 반하는 가산세 부과를 막을 수 있을까’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서 보면, 정당한 사유를 판단할 때 납세자의 고의‧과실을 고려하지 않는 판례의 태도는 변경되어야 한다. 고의‧과실은 책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까닭이다. 또한 납부불성실가산세의 경우 신고불성실가산세의 경우보다 정당한 사유를 제한적으로 인정하는 현재의 과세실무 역시 변경되어야 한다. 납부불성실가산세 역시 납세자에 대한 제재라는 점에서는 신고불성실가산세와 본질상 차이가 없고, 납세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사정이 있어서 정당한 사유를 인정하는 경우에는 납세자에게 가산세 제재를 가할 수 없음이 책임주의 원칙상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정당한 사유를 인정받아 납부불성실가산세를 면제받은 납세자가 성실하게 납부의무를 이행한 납세자보다 우대받는 불합리가 발생하는데, 이는 정당한 사유의 해석을 통한 해결이 아니라 입법적 해결이 필요한 부분이다. 다음으로, 정당한 사유의 유형화에 대해 살펴본다. 정당한 사유를 인정할 수 있는 유형은 다양하게 나누어 볼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일단 두 가지 쟁점에 논의를 한정하였다. 첫째, 구체적인 사건에서 세법해석의 전제가 되는 사실관계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과세관청이 세법해석에 관한 의견을 변경한 적이 있다면, 정당한 사유의 존재가 사실상 추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조세소송 과정에서 세법해석에 관한 상‧하급심 간 견해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역시 마찬가지다. 납세자에게 과세관청이나 법원보다 높은 수준의 세법해석을 기대하기는 어렵고, 과세관청이나 하급심 법원이 최종적으로 정당하다고 인정된 세법해석과 다른 견해를 취한 적이 있다는 사정은 곧 세법해석상 의의(疑意)가 존재한다는 가장 확실한 방증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납세자가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조세전문가의 자문을 신뢰하였다면, 설령 사후적으로 그 자문 결과가 과세관청이나 법원의 세법해석과 다르더라도 가산세 면제요건인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는 경우로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Article 48(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FANT”) provides for an exemption of penalty where there is a “justifiable cause.” However, “justifiable cause” is an uncertain concept, resulting in substantial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concept.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basic approaches for interpreting “justifiable caus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ategorize court cases and rulings where a justifiable cause was addressed so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will be more predictable. First, this paper will address the basic approaches for interpreting a justifiable cause. A penalty is an administrative sanction in nature, and accordingly, imposition of penalty can be justified only where imposition of administrative sanction can be justified. There are limits on the imposition of a penalty under the principle of liability under the Constitution, and imposing a penalty in contravention of this principle is an unconstitutional assessment in and of itself. “Justifiable cause,” a condition for exemption of penalty under the FANT, is a mechanism to prevent the imposition of penalty in contravention of the above principle. Therefore how to impose a penalty consistent with this principle should be the key to applying and interpreting a justifiable cause. Keeping this standard in mi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urt precedents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a taxpayer’s intent or negligence. This is because intent or neglig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a taxpayer’s liabilit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taxation practices in which a justifiable cause is more narrowly recognized for underpayment penalties than for under-reporting penalties. An underpayment penalty is fundamentally the same as an under-reporting penalty in that both are sanctions against taxpayers, and a taxpayer should not be subject to a sanction (i.e., penalty) where a justifiable cause is recognized due to a circumstance that exonerates the taxpayer. In this situation, a taxpayer who is exempted from underpayment penalty for having a justifiable cause may end up in a better situation than a taxpayer who has performed his payment obligations in good faith. This is an unreasonable outcome that should be resolved by a legislative action rather than by interpretation of justifiable cause. Next issue addressed in this paper is how to categorize justifiable cause. There can be several ways to classify cases where a justifiable cause can be recognized, but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limited to two issues. First, a justifiable cause should be presumed to exist where the tax authority has changed its interpretation of a tax law under the same facts. The same is equally true where a lower court and a higher court have conflicting views on interpretation of a tax law. This is because a taxpayer cannot be expected to interpret a tax law better than the tax authority or court. Also, the fact that the tax authority or a lower court has taken a different position from a higher court with respect to interpretation of a tax law can be clear evidence that there are conflicting views as to the interpretation of a tax law. Second, if a taxpayer has trusted the advice of a tax advisor meeting certain qualifications, a justifiable cause should be recognized even where the result of such advice turns out to be different from the interpretation of a tax law by the tax authority or the court.